"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야"
"생명안전공원 건립 등 유가족과 약속 지켜나갈 것"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6일 안산시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에 참석, 추도사를 통해 "304명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을 불러보고 싶다"며 진상 규명과 기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 |
16일 오후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추도사 낭독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김 지사는 이날 추모사에서 유가족과 생존자들을 향한 깊은 위로와 연대를 전하면서 "희미해지지 않는 아픔과 그리움은 시간이 갈수록 더 선명해진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2학년 6반 호성군, 1반 수진양, 6반 현철군, 8반 대현군의 생전 이야기를 하나하나 언급하며 "작년엔 네 명의 이름을 불렀고, 올해도 네 명의 이름을 더 불렀다"며 "304명의 이름을 모두 부르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이들이 '세월이 약'이라고 말하지만, 가슴에 묻은 이들의 아픔은 결코 바래지 않는다"며 "그 아픔과 그리움을 끌어안고 열한 번의 네 계절을 견뎌오신 유가족 여러분과 생존자 여러분께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지사는 박근혜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가 참사 진상규명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진실을 감추는 자들이 침몰할 뿐, 진실은 결코 침몰하지 않는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못하고, 책임을 회피한 정권의 말로는 결국 파면이었다"고 일침을 날렸다.
![]() |
16일 오후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추도사 낭독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또한 "윤석열이 파면되던 날, 이태원 참사 유가족의 '윤석열 이전의 나라로는 왔지만 아이는 볼 수 없다'는 말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참사의 아픔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최근 경기도가 추진한 두 가지 조치를 언급하며 희망의 메시지도 전했다. 지난 3월 개관한 안산마음건강센터는 세월호 유가족뿐 아니라 이태원 참사, 국가폭력 피해자 등 사회적 재난 피해자를 위한 치유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10년 넘게 기다려온 4.16 생명안전공원도 지난 2월 첫 삽을 떴다.
그는 "경기도가 예산 편성과 운영 책임을 전적으로 떠안았고, 유가족들이 포용과 연대를 보여주셨다"며 "아이들이 고향으로 돌아오고 있다. 제때 완공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끝으로 "최근 개봉한 다큐멘터리 <침몰 10년, 제로섬>은 '당신의 세월호는 끝났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진다"며 "세월호에서, 세월호와 함께 답을 찾아야 한다. 끝까지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 |
16일 오후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참사 11주기 기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또한 "내년 12주기에는 새 대통령이 유가족들과 함께 맨 앞자리에 앉아줄 것"을 공개적으로 제안하며, "고통을 나누고 눈물 흘리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약속하자"고 촉구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