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형성·수행평가 등 통합 관리 가능한 디지털 플랫폼
광주교육청 '광주아이온'에 기본 디지털 평가 서비스로 적용
4개 출판사 문항 40만 건 제공…AI 감독관 기능도 탑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는 공교육 환경에 최적화된 온라인 디지털 평가 서비스 '웨일 UBT(Ubiquitous-based test)'의 정식 버전을 출시하고, 광주시교육청의 교수학습 플랫폼 '광주아이온'에 기본 디지털 평가 시스템으로 탑재했다고 21일 밝혔다.
웨일 UBT는 지난해 10월 첫 공개된 이후 3개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현장 검증을 거쳐 정식 버전으로 선보이게 됐다. 이 서비스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단원평가, 수행평가 등 다양한 공교육 평가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수행평가 종합 관리체계 ▲문항 저작 도구 ▲고품질 문항 제공 ▲초중고 성취기준 기반 메타데이터 표준화 ▲AI 감독관 평가 솔루션 등이 포함된다. 교사는 자체 문항 출제는 물론 교육청 단위의 문항도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행평가를 직접 설계할 수 있는 맞춤형 저작 도구도 제공된다.
![]() |
[사진=네이버] |
네이버는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EBS·천재교육·지학사·쏠북 등 4개 출판사의 약 40만 건의 문항을 제공한다. 향후 수행평가 기능도 단계적으로 추가할 예정이다.
AI 감독관 기능은 응시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해 공정하고 신뢰도 높은 평가 환경을 지원한다. 또한 기본형 기능 외에도 교육청의 수요에 따라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방식도 함께 운영된다.
특히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안드로이드 기반 태블릿에서도 웨일 UBT를 사용할 수 있도록, 웨일 브라우저에 모바일 시험 모드를 새롭게 개발해 적용했다.
김효 네이버 웨일 리더는 "개인화된 맞춤 학습과 과정 중심 평가로 전환되는 교육 흐름에 맞춰, 웨일 UBT를 공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올인원 평가 서비스로 제공하게 됐다"며 "현장의 피드백을 반영해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평가 최적화 서비스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