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394대 시내버스 중 45%인 178대 수소버스...2031년까지 전면 친환경 버스로 전환 계획
안전점검 매뉴얼 제작, 정기·특별점검서 전문인력 양성까지 수소시내버스 안전관리 전주기 체계화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 전주시는 수소 기반 대중교통의 안전관리를 선도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수소시내버스 안전성 강화 협력체계를 구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전주시와 현대자동차, 전주시내버스공동관리위원회, 전주비전대학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평화동 시내버스 회차지에서 '수소시내버스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행정기관, 수소시내버스 제작사, 운영사, 교육기관, 안전관리기관 등 관련 핵심 기관들이 참여하는 종합 협력체계로, 전 주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 |
전주시가 전국 최초로 수소시내버스 안전 협력모델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전주시]2025.04.22 lbs0964@newspim.com |
시는 지난해 발생한 수소버스 사고와 수소충전소 화재 등으로 시민 불안이 높아진 가운데 체계적인 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했고, 이번 협약을 통해 결실을 맺었다.
현재 전주에서 운행 중인 394대 시내버스 중 45%에 해당하는 178대가 수소버스다. 시는 2031년까지 시내버스를 전면 친환경 버스로 전환할 계획이어서 향후 수소버스와 전기버스를 확대 도입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준비해왔다.
참여기관들은 △안전점검 매뉴얼 제작 △정기 및 특별점검을 통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 △운수사의 정비역량 강화 △신규 인력 양성 등 수소버스 전 주기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기로 뜻을 모았다.
시는 종합안전계획 수립과 친환경버스 도입 지원을 총괄하며, 협력체계 운영을 주도할 계획이다.
시내버스 운수사는 정기 및 특별 점검을 실시하고 현장 정비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는 점검 매뉴얼 제작 및 배포, 운수사 정비인력 집체교육과 정기 및 특별점검 참여를 통해 안전운행 기술을 지원할 예정이다.
전주비전대학교는 실무교육과 'RISE 사업'을 통해 버스 운전 및 정비 분야 청년 및 구직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전문인력 양성에 힘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점검 매뉴얼 검수 및 정기·특별점검에 참여해 전반적인 컨설팅을 통해 안전관리에 전문성을 더한다.
시는 이번 협력체계로 수소시내버스 안전관리의 모든 단계를 아우르는 종합적 안전망을 구축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할 모범 모델을 제시할 방침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번 협약은 수소시내버스 안전관리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전국 최초의 종합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첫걸음"이라며 "시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교통환경을 조성하고, 대한민국 수소시내버스 안전관리의 새로운 표준을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