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미국으로부터 50%의 관세 폭탄을 맞은 인도 정부가 수출업계 지원을 위해 4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13일(현지 시간) 비즈니스 스탠다드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인도 상공부와 산업부가 '수출 진흥 미션(Export Promotion Mission, 미션)'에 따라 수출업계 지원을 위해 향후 6년간 2500억 루피(약 3조 9550억원)를 투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해당 계획은 현재 재무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며 "재무부가 예산 편성 및 배정을 승인하면 연방 내각의 승인을 거쳐 계획이 정식 시행될 것"이라고 매체에 전했다.
미션은 수출 촉진을 위해 설계됐다. 무역 금융 및 수출업체의 시장 접근 완화에 중점을 두고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준수하는 범위 내의 지원 방안이 포함된다.
미션은 특히 소규모 수출업체에 초점을 맞췄다. 무담보 대출 확대 및 국경 간 팩토링(cross-border factoring), 고(高) 위험 시장 진출 등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정부는 당초 미션에 2250억 루피의 예산을 배정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인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션 관련 예산이 늘어났다.
베트남 등 역내 주요 경쟁국들이 15~20%의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확보한 가운데, 인도 정부가 수출 경쟁 심화에 대비해 미션 예산을 늘릴 수 있으며, 지원 방식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이달 초 보도한 바 있다.
한 관계자는 "(미국의 조치는) 관세 이상의 문제다. 내일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다"며 "우리는 장기적인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미션은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시장 및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수출업체들이 인도 상품의 '수출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 |
[사진=바이두(百度)]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