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소유주 네트워크 구축으로 참여 유도
2050년까지 온실가스 87% 감축 목표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 성북구는 '서울시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 선도지역으로 선정돼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탄소중립 실천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구는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 운영, 온실가스 감축 홍보, 건물관리자 친환경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전략으로 기후 위기 극복에 대응할 계획이다.
최근 성북구는 서울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건물 부문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했다. 이에 기존 건물의 온실가스 실배출량 관리를 강화하고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의지를 나타냈다.
![]() |
성북구청 전경 [사진=성북구] |
특히 구는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 대상 건물의 소유주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에너지 효율화 사례를 공유해 네트워크를 구성,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는 소유주가 전년도 에너지 사용량(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을 신고하면 용도와 규모에 기반해 5단계(AE등급)로 분류하는 자가진단 제도다. 연면적 1000㎡ 이상의 공공 건물과 3000㎡ 이상의 민간 비주거 건물이 신고 대상이다.
상위 3개 건물에는 '저탄소건물 인증마크'가 부여되며, 에너지 효율이 낮은 DE등급 건물에는 무료 컨설팅과 시설개선 무이자 융자 지원이 제공된다.
또 구는 오는 2026년부터 시행될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준비에도 착수한다. 총량제는 건축물을 12개 유형으로 나누고, 2017~2019년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2050년까지 이를 87% 감축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는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기후 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건물 소유주와 관리자의 노력은 필수적"이라며 "건물 에너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2025년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에 많은 참여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기후 위기 적응과 탄소중립 정책 실행에 있어 서울시 2025년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 선도지역으로서, 건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전략적 사업 추진에 앞장설 계획이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