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미 관세 정책 대응 한·중·일 제조업 실태 조사
내년 매출 4~7% 감소 전망...비용 절감·지역협력 활용 필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중·일 제조기업들이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일본 기업은 세 나라 가운데 가장 큰 매출 타격이 예상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일본 기업 매출이 평균 7%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최근 한국·중국·일본 3국의 매출 상위 1000대 제조기업 303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 정책 등에 관한 한·중·일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 3국 제조기업들은 미국의 품목별·상호 관세 조치가 본격화될 경우 내년도 매출이 평균 4~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 |
국가별 미국 관세 리스크가 내년 매출에 미칠 영향 [사진=한경협] |
국가별로는 한국 기업이 4.0%, 중국 기업이 6.7%, 일본 기업이 7.2%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전자, 자동차·부품, 기계·산업장비, 철강·금속제품 등 주력 수출 업종에서 5~10% 이상의 매출 감소가 우려됐다.
업종별로는 한국은 기계 및 산업장비(-12.2%), 중국은 철강 및 금속제품(-11.7%),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10.4%) 부문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3국 평균으로는 철강·금속제품이 10.3%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할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한 정책에 대응한 투자 계획에 관해, 한국 기업은 74.3%가 "변경 없음"이라 답했고, 일본 기업도 61.4%가 "변경 없음"을 선택했다. 중국 기업은 "변경 없음"(38.6%) 외에도 "투자 확대"(28.7%) 응답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의 투자 확대 배경으로 정부 보조금 지원과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강화 기대감을 꼽았다.
![]() |
업종별 미국 관세 리스크가 내년 매출에 미칠 영향 [사진=한경협] |
기업들의 대응 전략에서는 한국 기업 46.0%, 중국 기업 61.0%, 일본 기업 41.0%가 "원가 및 비용 절감"을 최우선 대응책으로 선택했다. "미국 현지 생산·투자 확대"를 선택한 비율은 일본 기업이 21.0%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은 11.0%에 그쳤다.
지역무역협정 효과에 대해서는 중국 기업이 75.2점(100점 기준)으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한국은 38.6점, 일본은 20.8점에 머물렀다.
정책과제로는 한국과 일본 기업 모두 "세금 감면"과 "재정 지원"을 희망했다. 특히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은 일본 기업 58.0%, 한국 기업 46.0%가 중요 과제로 꼽았다. 중국 기업은 "신시장 개척 지원"(60.0%)과 "관세 감축 외교 노력"(58.0%)을 최우선으로 요구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정책 강화로 수출 여건이 악화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함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