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 및 수사외압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다시 불러 휴대전화 디지털포렌식 분석을 위한 선별 작업을 이어갔다. 공수처가 포렌식 분석에 성공할 경우, 당사자 소환조사 등 수사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사진=뉴스핌 DB] |
공수처는 30일 임 전 사단장을 경기 과천시 공수처 청사로 불러 휴대전화 포렌식 선별 작업을 재개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공수처에 출석하면서 "빨리 비밀번호가 풀려 구명 로비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며 "경찰 능력으로 충분히 풀렸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수처는 지난 23일에도 임 전 사단장을 불러 이 작업을 진행하려 했지만, 임 전 사단장이 '전체 과정을 녹음하겠다'고 공수처와 맞서면서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양측은 재협의 끝에 녹음 없이 작업을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공수처는 임 전 사단장이 2023년 7월 경북 예천군 수해 실종자 수색 작전 당시 부당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의 구명 로비 정황 등을 포함해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에 외압이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의 개입 여부가 핵심 쟁점이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