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흥국증권에서 20일 삼화전기(009470)에 대해 '하반기를 바라보며'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36,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32.1%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삼화전기 리포트 주요내용
흥국증권에서 삼화전기(009470)에 대해 '하반기 주가 상승 요인 체크: 동사의 성장 동력은 업계 최고 수준의 업력을 바탕으로 하는 고부가품 생산 역량. 하반기부터는 고부가품 위주의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시점. SCAP은 개발 단계부터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한 제품군. 동 고객사와 차세대 S-CAP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하반기부터는 초도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차세대 S-CAP의 수요를 예단할 수 없으나, 기존 S-CAP 대비 고부가가 예상되는 제품으로 수요 확보 여부에 따라 실적 램프업 가능성도 존재. Hybrid Cap도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 둔화에 따라 수요가 부진하고 있으나, 시장 턴어라운드에 따라 글로벌 고객사와 협의된 약 5,600만 달러 수준의 수주가 매출로 인식될 가능성 존재. 회사 차원에서도 향후 수요 확장을 기대해 점진적으로 설비를 투자하는 단계로 파악. 수요를 기다리며 고부가품 위주의 사업 준비는 착실히 진행 중인 상황. 상반기 기대했던 고객사 확장의 부재로 인해 다소 아쉬운 실적을 보여주고 있으나, 고부가품 기반의 수요처 다변화 가능성은 하반기로 시선을 옮겨 기다려야할 시점으로 판단.'라고 분석했다.
또한 흥국증권에서 '1분기 실적은 연결 기준 매출액 617억원(YoY +5.8%), 영업이익 57억원(YoY -25.4%)을 기록. 국내 고객사의 가전제품에 탑재되는 범용품 제품군이 관세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Pull-In 수요로 인해 전년 대비 매출 호조세에 기여. 다만, 핵심 고부가품인 S-CAP, 하이브리드 캡의 수요가 예상 대비 아쉬운 성과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감익 발생. 품목별 매출액은 전해콘덴서 제품군 약 316억원, 그린캡 약 13억원, 콘덴서 상품 약 286억원, 기타 약 20억원을 기록.'라고 밝혔다.
◆ 삼화전기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하향조정, 43,000원 -> 36,000원(-16.3%)
흥국증권 박희철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36,000원은 2024년 11월 25일 발행된 흥국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43,000원 대비 -16.3% 감소한 가격이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삼화전기 리포트 주요내용
흥국증권에서 삼화전기(009470)에 대해 '하반기 주가 상승 요인 체크: 동사의 성장 동력은 업계 최고 수준의 업력을 바탕으로 하는 고부가품 생산 역량. 하반기부터는 고부가품 위주의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시점. SCAP은 개발 단계부터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한 제품군. 동 고객사와 차세대 S-CAP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하반기부터는 초도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차세대 S-CAP의 수요를 예단할 수 없으나, 기존 S-CAP 대비 고부가가 예상되는 제품으로 수요 확보 여부에 따라 실적 램프업 가능성도 존재. Hybrid Cap도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 둔화에 따라 수요가 부진하고 있으나, 시장 턴어라운드에 따라 글로벌 고객사와 협의된 약 5,600만 달러 수준의 수주가 매출로 인식될 가능성 존재. 회사 차원에서도 향후 수요 확장을 기대해 점진적으로 설비를 투자하는 단계로 파악. 수요를 기다리며 고부가품 위주의 사업 준비는 착실히 진행 중인 상황. 상반기 기대했던 고객사 확장의 부재로 인해 다소 아쉬운 실적을 보여주고 있으나, 고부가품 기반의 수요처 다변화 가능성은 하반기로 시선을 옮겨 기다려야할 시점으로 판단.'라고 분석했다.
또한 흥국증권에서 '1분기 실적은 연결 기준 매출액 617억원(YoY +5.8%), 영업이익 57억원(YoY -25.4%)을 기록. 국내 고객사의 가전제품에 탑재되는 범용품 제품군이 관세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Pull-In 수요로 인해 전년 대비 매출 호조세에 기여. 다만, 핵심 고부가품인 S-CAP, 하이브리드 캡의 수요가 예상 대비 아쉬운 성과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감익 발생. 품목별 매출액은 전해콘덴서 제품군 약 316억원, 그린캡 약 13억원, 콘덴서 상품 약 286억원, 기타 약 20억원을 기록.'라고 밝혔다.
◆ 삼화전기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하향조정, 43,000원 -> 36,000원(-16.3%)
흥국증권 박희철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36,000원은 2024년 11월 25일 발행된 흥국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43,000원 대비 -16.3% 감소한 가격이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