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건강 기본법 제정 등 소아의료 강화 방안 제시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회장 최용재)가 제21대 대선 후보들을 향해 소아의료 공약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호소했다.
협회는 19일 서울 마포구 대한병원협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아진료의 지속 기반 확보와 어린이 건강 기본법 제정 등을 요구했다.
![]() |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지난 19일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가 서울 마포구 대한병원협회에서 제21대 대선 후보들에게 소아청소년 의료 관련 공약 제시를 요청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왼쪽부터) 최용재 회장, 이홍준 부회장. 2025.05.19 calebcao@newspim.com |
최용재 회장은 "이번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살펴보면 소아의료는 또다시 외면 내지 방치되고 있는 것 같다"며 "소아에겐 투표권이 없어 당장 공약으로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지만, 후보들은 한결같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말하고 있다. 미래는 정상적인 소아의료에서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대선 후보들이 소아의료를 위해 채택해야 할 공약으로 ▲지난해부터 시행해 온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시범사업(시범사업)의 확대 ▲소청과 전공의 지원 시스템 강화 ▲보편적 소아진료체계 전환 ▲어린이 건강 기본법 제정 ▲소아 필수약 공급 체계 구축 ▲소아 감염 방지 및 예방 대책 마련 ▲소아병실 다인실 기준 완화 등을 요구했다.
특히 협회는 이날 소아환자 상급의료기관 전원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네트워크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소청과병원(참여병원)과 참여하지 않는 병원(불참병원)에 대한 시범사업 인식 조사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불참병원의 응답 결과, 소아환자의 상급의료기관 전원이 '거의 수용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18%였고, '간헐적으로 수용된다'는 비율은 43%였다. 반면 '항상 수용된다'와 '대체로 수용된다'는 각각 1%와 38%에 불과했다.
반면 참여병원의 경우 '항상 수용된다'가 15%였고, '대체로 수용된다'는 비율은 75%로 나타났다. '간헐적으로 수용된다'와 '거의 수용되지 않는다'는 각각 5%로 극히 적은 수치를 보였다.
최 회장은 "이번 조사에서 시범사업이 소아환자의 상급의료기관 전원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며 "시범사업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은 맞지만 행정구역 단위 중심의 설정으로 인해 의료생활권(진료권) 환자 수요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차기 정부는 시범사업 수준의 한정적 접근이 아니라, 반드시 국가 차원의 정책으로 격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홍준 부회장은 유권자인 국민들을 향해 "어린이는 한 명당 부모, 조부모 등 대여섯 명의 표가 걸려 있다"며 "얼마 남지 않은 소청과 전문의를 다시 확보하는 것과 어린이 건강 기본법 제정, 소청과 진료 체계 강화를 공약으로 내세우는 후보를 뽑아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calebca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