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7월 29일·김건희 8월 6일 소환 예정
尹은 '선거법위반', 김건희는 '자본시장법위반' 혐의
특검, 이날 통일교·정부 기관 압색…건진법사 청탁 의혹 살필 듯
김 여사 측 "공식 출석 입장은 유보…기본적인 수사에는 협조할 것"
[서울=뉴스핌] 김영은 기자 =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특검팀)이 21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할 것을 통보한 한편, 건진법사 청탁 의혹과 관련해 정부기관 및 기업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에 대해 각각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와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를 적용해 출석 요구서를 송부했다.
![]() |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특검팀)이 21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할 것을 통보한 한편, 건진법사 청탁 의혹과 관련해 정부기관 및 기업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사진은 지난 4월 11일 오후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는 모습. [사진=김학선 기자] |
특검팀은 이들에게 각각 오는 7월 29일 오전 10시 출석, 오는 8월 6일 오전 10시 출석을 통보했다.
아울러 이날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사무실, 기획재정부, 외교부, 국무총리실 소속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수출입은행 본점,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도 착수했다.
특히 기재부, 외교부, 국제개발협력위원회 등 일부 기관에 대해서는 자료 협조 차원에서 영장이 집행됐다.
이번 압수수색은 통일교와 '건진법사' 전성배씨의 캄보디아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청탁 의혹과 관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교 측은 2022년 중순 캄보디아 ODA 사업 수주 등을 목적으로 전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 6000만원 상당의 그라프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1000만원 상당의 샤넬가방 각 2개 등을 전달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 무렵, 기재부는 한-캄보디아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 지원 한도가 기존 7억달러에서 15억달러로 확대했다. 특검팀은 ODA 사업과 연관된 기재부 개발금융국 등 정부 기관에 앞선 의혹 관련 증거가 있을 것이라 보고,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 |
'도이치모터스'와 '집사 게이트' 의혹에 연루된 인물들이 21일 '김건희 특별검사팀(특검팀)'의 소환 조사에 출석했다. 사진은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에 있는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하는 모습. [사진=양윤모 기자] |
특검팀은 현재 김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과 집사 게이트 의혹 등과 관련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를 각각 소환해 조사 중이다.
특검팀은 이 전 대표가 삼부토건 주가조작, 임성근·조병노 구명로비 등 여러 의혹에 관여했다고 보고, 이날 조사 이후 2차 조사도 계획하고 있다.
이날 소환 예정이었던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은 출석을 연기했다.
HS효성 측은 "조 부회장이 해외에서 회의를 주관하느라 소환 일정 조정이 불가피했다"며 "경주에서 개최하는 APEC 행사에 글로벌 인사의 참여를 촉구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향후 조사엔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여사 측은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아직 출석 요구서를 전달받지 못했다"며 "요구서 확인 후 특검 측에 조사받을 내용을 구체적으로 질의할 예정이어서 출석 여부를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식적 입장은 유보하지만 수사에는 성실히 응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특검팀은 이날 압수수색한 자료를 토대로 대외경제협력기금 차관 지원 한도가 늘어난 경위를 살펴보는 한편, 류 대표와 이 전 대표의 진술에 근거해 김 여사의 주가조작 및 집사게이트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헤칠 전망이다.
yek10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