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사업 전환·서비스 체계 고도화 제안
복지부 "국민 체감하는 기본 계획 추진"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정부가 정책토론회를 열고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23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서울 퍼 시픽호텔에서 제3차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2026년~2030년)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은 '노후준비지원법'에 따라 국민이 스스로 노후를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정 중장기 계획이다. 5년마다 수립·시행한다.
![]() |
고령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4.03.29 plum@newspim.com |
김평식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초고령화 시대 노후 위험과 정책 대응'을 주제로 발표한다. 황남희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제3차 노후준비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를 주제로 제2차 노후준비 기본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3차 기본계획의 방향성과 추진과제를 제안했다.
황 연구위원은 3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핵심 방향으로 ▲서비스 추진체계 협력 및 연계 강화 ▲AI 기반의 사업 전환 등을 제시했다. 세부 추진과제로 ▲생애주기·영역별 맞춤형 서비스 체계 고도화 등을 제시해 실효성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이날 종합토론에는 최경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고령사회정책총괄과장, 김미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원장, 김윤영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강인선 매일경제신문 기자, 황원경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부장이 참여했다. 복지부는 이번 토론회를 바탕으로 9월까지 기본계획 초안을 마련하고 12월 중 3차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발표 한다.
김상희 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저출산·고령화로 길어진 노후를 국민과 정부가 협력해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다양한 의견을 충실히 반영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