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중심기업협회, 폴더블폰 두께 실측 정보 공개
슬림화 경쟁 속 오차 최대 0.6㎜…소비자 오인 우려
해외직구 늘며 정보 왜곡 가능성 커져…정확한 안내 필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의 갤럭시 Z폴드7 보다 두께가 얇다고 홍보한 중국산 폴더블폰의 실제 두께가 광고와 최대 0.6㎜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KCEA)는 24일 시중 주요 폴더블 스마트폰의 실측 두께 정보를 공개했다.
일부 제품은 보호필름을 제외한 상태에서 두께를 표시해, 실사용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국 아너의 '매직 V5'는 화면 보호필름도 제외하고 두께를 고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 |
아너 '매직 V5'의 실측 두께 [사진=KCEA] |
아너 측은 실제로 두께가 8.8㎜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 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협회 조사에 따르면 이 폴더블폰의 두께는 9.34㎜로 0.54㎜ 더 두꺼웠다. 갤럭시 Z폴드7(8.9㎜) 보다 더 두꺼운 셈이다.
협회는 "폴더블폰은 기본 설계 단계에서부터 내외부 필름이 부착돼 있다"며 "소비자가 이를 탈부착할 수 없는 구조인 만큼, 필름을 제외한 수치는 실제 정보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삼성전자의 갤럭시 Z폴드7은 공식 홈페이지에 알린 두께인 8.9㎜ 오히려 더 얇은 8.82㎜로 조사됐다.
이번 측정 대상은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을 반영해 선정했으며, 제품은 모두 접은 상태에서 측정했다. 측정에는 외측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했으며, 카메라 돌출부와 테두리는 제외했다. 단, 내외부 화면 보호필름은 소비자 사용 환경을 반영해 포함했다.
최근 폴더블폰 시장은 삼성, 화웨이, 아너, 비보, 샤오미 등 중국계 제조사를 중심으로 급성장 중이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출하량은 지난해 2024년 2520만대에서 올해 7000만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업계는 내년 애플의 시장 진입을 계기로 슬림화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제조사 일부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을 앞세운 마케팅으로 이목을 끌고 있으나, 측정 기준 불명확 등으로 소비자 기만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협회는 "해외 직접구매가 늘며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중고 거래 등 2차 시장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소비자정보는 실제 유통 제품 기준으로 제공돼야 한다"며 "기업은 사용환경을 고려한 정보를 고지해야 하며, 소비자는 스스로 정보의 진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