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설문조사...저소득층 체감도·학습 수요 특히 높아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민 절반 이상이 물가 상승과 같은 경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학습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생계 지원을 넘어, 자립적 대응 능력을 키우는 평생교육의 수요가 뚜렷하다는 분석이다.
![]() |
경기도민 평생교육 이슈조사 2차. [사진=경기도]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도내 거주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5%포인트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낀다고 응답했다. 특히 여성(90.3%)과 30대(88.5%), 50대(87.7%)에서 심각성을 크게 체감하고 있었다. 월소득 276만 원 미만의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에 달했다.
실제 생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0.4%에 달했다. 이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답했으며,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어렵다'는 응답 비율이 32.8%로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 "달걀·쌀부터 잡아야"...물가 안정 우선 품목은 기초 식재료
응답자들은 물가 안정 정책의 우선 품목으로 '달걀'(41.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순이었다. 고령층과 저소득층일수록 기초 식재료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았다.
또한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분야로는 '경제 흐름과 물가 구조에 대한 이해'가 5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59.8%는 관련 교육에 참여 의향이 있다고 밝혔고, 특히 55.2%는 '언제든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를 선호했다.
◆ "단순 체감 아닌 학습 통한 대응 역량 필요"...도, 교육지원 확대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물가 상승이라는 구조적 변화는 단순 체감이 아니라 학습을 통해 대응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이번 조사가 보여준다"며 "정부의 '평생교육이용권' 제도를 활용해 도민의 자율적인 경제 교육 참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평생교육이용권'은 도내 성인을 대상으로 강좌 수강료 및 교재비 등을 최대 35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로, 경제적 제약 없이 누구나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