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핵보유국 인정 요구'에 '비핵화' 견지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北비핵화 논의할 것"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전제로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것에 대해 외교부는 29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는 한·미 간 견해가 일치돼 있다"고 밝혔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미는 향후 북·미 대화를 포함, 대북 정책 전반에 관하여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 gdlee@newspim.com |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북한 비핵화에 대한 우리 정부 의지는 확고하며 미측과 공조 아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정부 의지도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 비핵화를 위해 북한이 대화에 나오길 촉구하는 입장에도 변화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또 조현 장관이 오는 31일(현지 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이같은 입장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과 한반도와 역내 안보 환경 및 정세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북한 비핵화 문제도 당연히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김 부부장 담화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북한 비핵화를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하고 싶어 한다"고 밝혀 '북한 비핵화' 입장을 견지한 바 있다.
앞서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우리 국가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그 능력에 있어서 또한 지정학적 환경도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엄연한 사실"을 강조했다. 김 부부장은 또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패한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 있게 될 것"이라며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의 이날 담화는 미국과의 대화 재개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북·미 핵군축 대화가 아닌 비핵화를 위한 대화는 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