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 직후 긴급 특별대책회의 소집
자동차부품·K-뷰티 등 중소기업 보호 위한 500억 추가
경기도, 수출 소비재 기업 피해 최소화 전략 본격화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접한 즉시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500억 원 추가 경영자금 지원과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체계 가동 등 후속 조치를 전격 발표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접한 즉시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500억 원 추가 경영자금 지원과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체계 가동 등 후속 조치를 전격 발표했다. [사진=경기도] |
이날 김 지사는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가평군에서 자원봉사 중 한미협상 타결 소식을 보고받고는 즉각 회의 소집을 지시했으며, 정부의 공식 발표 7시간 만에 특별대책회의가 열렸다. 김 지사는 수해 복구 현장을 마치고 곧바로 회의장으로 이동해 대책을 직접 주재했다.
◆ 총 1000억 원 규모 '특별경영자금' 가동...자동차부품·K-뷰티 등 보호
이날 회의에서는 먼저 관세협상 타결에 따른 시장 개방 여파로 피해가 예상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존 지원에 더해 500억 원 규모의 특별경영자금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미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미국산 시장 개방 피해기업을 위해 500억 원 규모의 특별경영자금 지원을 결정한 바 있으며, 이번 추가 지원으로 총 1000억 원으로 확대됐다. 현재까지는 90개 업체에 399억 원이 지원된 상태다.
김 지사는 "관세 부과로 인해 도내 자동차부품, K-뷰티, K-식품 등 수출 소비재 기업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경기도가 발 빠르게 대응해 실질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업체당 최대 5억 원까지 지원된다.
◆ 화장품·의료기기 업종도 무역위기 패키지 대상 확대 검토
두 번째 조치로는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 대상 확대가 거론됐다. 현재 경기도는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 6대 품목에 대해 지원하고 있으나, 이번 협상으로 화장품, 의료기기 등 추가 업종의 피해 가능성이 제기됐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접한 즉시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500억 원 추가 경영자금 지원과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체계 가동 등 후속 조치를 전격 발표했다. [사진=경기도] |
경기도는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패키지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 감액추경에도 '관세대책 예산'은 손대지 않는다
경기도는 현재 2차 추경을 준비 중이며, 민생 소비쿠폰 예산 확보 등을 위해 감액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관세 협상 관련 수출기업 지원 예산은 절대 감액하지 말고, 오히려 증액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추경 편성 과정에서 수출지원 사업이나 피해기업 대응 프로그램을 구조조정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다.
◆ '무역위기 시즌2' 대응 체계 출범...2차, 3차 회의도 예고
김 지사는 이번 특별대책회의를 단회성 대응이 아닌 지속 가능한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체계의 출발점으로 규정했다. 향후 2차, 3차 회의를 소집해 추가적인 지원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그는 모두발언에서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이 이번 협상의 가장 큰 성과"라며 "다른 경쟁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조건으로 협상이 마무리됐고,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도 방어해냈다"고 평가했다.
또한 "우리 협상팀과 밤늦게까지 직접 통화하며 진두지휘한 이재명 대통령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31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접한 즉시 '경기도 특별지원대책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500억 원 추가 경영자금 지원과 '무역위기 대응 시즌2' 체계 가동 등 후속 조치를 전격 발표했다. [사진=경기도] |
◆ "이재명 정부의 실용·국익외교, 여야 초월해 지지해야"
김 지사는 이번 협상이 국내 정치에도 긍정적 전환점을 가져왔다고 언급했다. "한미정상회담 도출은 환영할 일이며, 윤석열 정부의 비정상 외교에서 벗어나 국정이 정상화된 계기"라며 "이제 여야를 넘어 국익 중심 실용외교에 모두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앞으로도 국정의 제1동반자라는 자세로 이재명 정부의 외교·통상 전략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다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