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 재탄생 위해 중앙-지방 머리 맞댄다
현장 의견 반영 '폐교 활용 활성화 계획' 9월중 발표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교육부와 행정안전부는 오는 25일 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 담당자와 함께 폐교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학령인구 감소로 늘어나는 폐교를 보육시설, 노인요양시설, 임대주택, 공공도서관 등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폐교 활용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제도 개선의 방향도 검토하기 위해 마련됐다.
![]() |
교육부 전경. [사진=교육부] |
참석자들은 폐교 활용의 장애 요인으로 건물 노후화, 매입 및 정비에 드는 비용 부담, 각종 규제 등을 꼽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활용 지원 ▲제도 개선 ▲활성화 유도 등 세 가지 분야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활용 지원 분야에서는 교육부의 학교복합시설 공모사업 등 국비 지원사업, 행정안전부의 지방소멸대응기금과의 연계를 통해 지방재정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폐교재산의 체계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행·재정적 지원 방안도 고민한다.
제도 개선 분야에서는 폐교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주민참여 확대, 교육청-지자체 간 협력체계 강화, 관련 규제 정비 방향을 모색한다.
활성화 유도 분야에서는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폐교 활용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중앙정부가 폐교 활용 우수사례를 확산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을 논의한다.
교육부와 행안부는 지난 4월 '폐교재산 활용 지침'(가이드라인) 및 7월에는 '폐교재산 활용 사례집'을 마련·안내해 교육청과 지자체의 폐교 활용을 지원한 바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 수렴된 현장 의견과 건의사항은 9월 발표 예정인 '폐교 활용 활성화 지원계획'에 반영될 예정이다.
전진석 교육부 교육자치안전정책관은 "폐교는 시·도교육청의 공유재산임과 동시에 지역사회를 위한 중요한 자산"이라며 "폐교가 지역사회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도록 중앙-지방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폐교 활용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jane9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