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동맹강화, 무역 불균형 해소 방안 등 현안 논의"
대중국 억지력 제고와 국방비 증액 등 의제 조율한 듯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25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사흘 앞두고 한미 양국의 외교 수장이 22일 워싱턴DC에서 전격 회동해 막판 정상회담 의제 조율에 나섰다.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동행하는 대신 급거 방미길에 오른 조현 외교부 장관은 전날 워싱턴DC에 도착해 이날 오후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회동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 날 오후 5시 45분께 자신의 소셜 미디어 X에 사진과 함께 "오늘 조 장관과 만나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했다"는 글을 올렸다. 이어 "우리(한미)의 파트너십은 미래지향적인 의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전역의 평화, 안보, 그리고 번영을 위한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 |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조현 외교부장관과 회동한 뒤 자신의 X에 사진과 함께 회동 사실을 알렸다. [사진=루비오 장관 X] |
미국 국무부도 한미 외교장관 간 회동이 마무리된 직후인 이 날 오후 6시께 토미 피곳 국무부 부대변인 명의의 언론 공지를 통해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이 회동해 양국 간 동맹 강화와 무역 불균형 해소 방안 등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
피곳 부대변인은 먼저 양국 외교수장이 70년 이상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번영의 핵심(linchpin) 역할을 해온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강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어 루비오 장관과 조 장관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강화하고, 공동의 부담을 늘리며, 미국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무역 관계의 공정성과 상호주의를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둔 미래지향적 의제를 중심으로 한미 동맹을 발전시켜 나가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가 안보 분야에서는 중국을 겨냥한 역내 억지력 제고를 위한 한국의 동참과 한국의 국방비 및 방위비 분담금 증액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 통상분야에서는 반도체와 조선업 등 미국의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한국의 투자와 기여, 그리고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해소 방안이 중심 의제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피곳 부대변인은 말미에 양국 장관이 한미일 3국 간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조 장관은 23일로 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을 수행하는 대신, 급거 방미에 나서면서 막판 정상회담 의제 조율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