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국내 주류 업계가 내수 침체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고물가에 따른 국내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 위축, 코로나19 이후 회식 문화 축소, 인구 감소, 주류 소비 외 다양한 문화 생활 통한 여가 활동의 증대, 헬시 플레저 트렌드에 따른 절주 문화 확산으로 전반적인 주류 소비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 |
[사진=롯데칠성음료] |
여기에 가격 인상까지 이어지며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 커지고, 주요 업체들의 실적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주류 업체들은 해외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한계에 봉착한 내수 대신 글로벌 시장에서 '반등의 기회'를 찾겠다는 전략이다.
30일 한국무역협회의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몽골은 올해 1분기 한국 맥주 수출액 100억 9691만원을 기록하며 전체 수출국 중 1위에 올랐다. 3월부터 순위가 뒤집혀 지난달까지 맥주 수출국 연속 1위를 유지했다.
몽골에서는 최근 K-팝(POP)과 K-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한류 영향으로 한국 제품 전반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현지에 진출한 이마트24, CU등 유통망의 확대가 K-맥주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주류 업계에서는 몽골 시장에서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현재 몽골에 크러시, 클라우드, 순하리, 처음처럼, 새로를 판매 중이다. 현지 시장 상황을 고려해 판매 제품 확대 여부를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롯데칠성은 현지 인기 가수 '디바이다샤 쇼&콘서트'에 주류 메인 스폰서로 '크러시' 가 참여하기도 했다. 몽골 내 대형마트, 편의점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해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몽골 주요 유통 채널과 협력해 현지 문화,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시음 이벤트도 운영하는 등 현지 시장에 맞춘 판촉 활동을 펼쳐 나가고 있다.
올해 몽골 진출 25년째를 맞은 카스는 몽골에서 대표적인 수입 브랜드로 인식되며 프리미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수출한지 25년 이상 된 '카스' 제품은 현지 제품을 뛰어 넘어 몽골인의 입맛에 정착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오비맥주의 카스 레드는 6.9도의 고도수면서도 쓰지 않은 맛의 맥주로 남성 소비자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추운 날씨의 영향으로 고도수 알코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현지 수요를 잘 공략한 것이 주효했다.
과거 몽골에 자체 맥주 생산 기반이 부족한 시기에 카스가 맥주 시장을 선점했다. 현재까지도 여전히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시장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유통 전략을 통해 전년 대비 판매량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도 했다.
식재 캠페인 등 현지 밀착형 마케팅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카스 희망의 숲 캠페인'을 14년 이상 진행함으로써 몽골 내 카스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비맥주는 현재 몽골 시장에 카스 브랜드 외에 호가든, 스텔라 아르투아, 버드와이저를 판매하고 있다. 회사는 앞으로 판매 채널 다변화를 꾀할 계획이다. 대형마트, 레스토랑, 바 등 로컬 현지 채널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방침이다. 유통망 확장을 통해 시장 점유율 상승 효과와 안정적인 판매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현재 몽골에 테라, 참이슬과 과일소주류를 판매 중이다. 지난해에는 CU와 함께 몽골에 맥주 켈리를 론칭하고 현지 주류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하이트진로는 몽골에서 판매 중인 켈리는 453ml 캔 제품이다. CU가 몽골에서 운영하는 400여개 매장을 통해 K-맥주 켈리를 선보이고 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맥주, 소주 모두 수출 중에 있으나 타국가에 비해 시작 단계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