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타패스, 업계 최저 배송 기준 제시
경쟁사 멤버십과 다른 전략적 포지션
고객 유입·재방문율 확대 노린다
유통업계 '재기 시험대' 오른 롯데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롯데마트가 '제타(ZETTA)'를 통해 이커머스 재도약을 위한 승부수를 띄웠다. 업계 최저 수준으로 배송비 장벽을 낮춘 '구독형 배송 서비스'를 내세워 치열한 유통 시장에서 다시 입지를 다지겠다는 전략이다.
![]() |
롯데마트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롯데마트 제타'가 론칭한 배송 구독 서비스 '제타패스' 포스터. [사진=롯데마트 제공] |
◆ 제타패스 출시, 업계 최저 배송 승부수
2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최근 구독형 멤버십 서비스 '제타패스'를 출시했다.
눈에 띄는 점은 최소 주문 금액이다. 소비자는 월 2,900원만 내면 1만5,000원 이상 구매 시 무제한 무료배송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업계 무료배송 혜택 가운데 최저 수준으로 배송비 부담을 줄이려는 소비자 심리를 정면으로 겨냥한 것이다. 기존 제타의 일반 무료배송 기준은 4만원 이상이었으나 이번 제타패스 도입으로 그 기준이 대폭 낮아졌다.
이용자 혜택은 무료배송에 그치지 않는다. 제타패스 회원에게는 매주 출시되는 신상품 5% 할인 혜택이 제공되며, 초기 가입자에게는 1개월 무료 체험 기회도 주어진다. 진입 장벽을 최소화해 소비자들이 직접 경험해 본 뒤 유료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 |
지난 4월 출시된 스마트 신선 솔루션 '롯데마트 제타' 앱 모습. [사진=롯데마트] |
◆ 온라인 시장 재도약 나선 롯데 유통군
업계에서는 이번 행보를 두고 "롯데가 온라인에서 다시 한번 승부수를 띄운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커진 온라인 장보기 시장은 쿠팡·네이버 중심으로 굳어진 지 오래다. 이 과정에서 다른 유통사들은 무료배송 기준을 완화하거나 멤버십 혜택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대응해왔다.
다만 롯데마트처럼 월 3000원 미만의 구독료로 업계 최저 기준을 제시한 사례는 드물다. 마켓컬리의 경우 구독료는 월 1,900원으로 제타보다 낮지만 2만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제타패스를 통해 고객 유입 확대와 구매 빈도 증가 효과를 기대한다. 낮은 장벽의 구독형 서비스는 충성 고객 확보에 효과적인데다 자주 소량으로 구매하는 고객들의 재방문율을 높이는 데도 유리하다. 이는 곧 플랫폼 체류 시간 증가와 매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물론 과제도 남아 있다. 구독 서비스는 초기에는 혜택으로 눈길을 끌지만 장기적으로는 유지율 관리가 성패를 좌우한다. 무료 체험이 끝난 뒤에도 소비자들이 2,900원을 꾸준히 지불할 만한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관건이다.
![]() |
[사진=챗GPT] |
경쟁사 대응도 변수다. 쿠팡, SSG닷컴, 마켓컬리 등은 이미 각자 강점을 내세운 멤버십과 배송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시장 판도가 단기간에 바뀌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한 이유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자가 다른 플랫폼에서 옮겨올 만큼의 상품력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다만 핵심 물류 인프라가 완성되는 데 시간이 필요한 데다 경쟁사들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어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업계는 이번 시도를 의미 있게 본다. 롯데 유통 부문은 최근 몇 년간 온라인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며 존재감이 희미해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 제타패스 출시는 그런 상황에서 내놓은 '재기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롯데마트 제타는 쇼핑한 먹거리를 더욱 신선하게 받아볼 수 있도록 고객이 원하는 맞춤 시간대에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더불어 월 2900원 구독형 배송 서비스 '제타패스(ZETTA pass)'를 통해 고객들이 더욱 부담없이 온라인 장보기를 할 수 있도록 힘쓰고자 한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