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이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가 우크라이나 전쟁 자금으로 쓰인다며, 주요 7개국(G7)에 두 나라를 겨냥한 고율 관세 부과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 협상 압박 수단으로 고안한 조치로, 오는 12일 예정된 G7 재무장관 화상 회의에서 논의될 예정이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8월 1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위해 알래스크 앵커리지의 엘멘도프리차드슨 합동 기지에서 만난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초 이미 유럽연합(EU)에 중국·인도산 제품에 최대 100%의 관세를 매길 것을 요구했으며, 이번에는 이를 G7 차원으로 확대하려 하고 있다.
미 재무부 대변인은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쟁 기계를 가동시키며 우크라이나인의 무의미한 학살을 연장하고 있다"며 "전쟁이 끝나는 날 관세는 철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관세율은 밝히지 않았지만,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은 50~100% 수준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달 27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문제 삼아 인도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했다. 또 지난 4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최대 145%까지 인상했다가 양측이 무역협상을 지속하기로 합의하면서 조정됐다.
G7이 대(對)중국, 인도 고율 관세 부과에 선뜻 동참할 순 없을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EU 내부에서는 중국·인도라는 핵심 교역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역효과가 크다며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고, EU는 현재 인도와 수주 내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이다. 중국과도 경제 협력 확대를 모색하고 있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에 EU는 미국에 러시아 에너지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 강화, 2027년으로 예정된 러시아산 석유·가스 수입 전면 중단 시점을 앞당기는 대안을 제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마저도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 친러 국가들의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