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노후화 대응관련 정책토론회' 개최
30년 이상 노후 노선, 2024년 9%에서 2040년 61% 예상
국토연·서울시립대·한국도로공사 등 전문가 토론 이어져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 노후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구간 단위 대규모 리모델링' 필요성 논의에 나섰다.
![]() |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고속도로 노후화 대응관련 정책토론회'에서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아랫줄 오른쪽에서 세 번째), 안태준 의원(아랫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 권영진 의원(아랫줄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및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도로공사] |
12일 공사는 전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안태준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광주시을)·권영진 국민의힘 의원(대구 달서구병)과 함께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고속도로 노후화 대응 관련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990년대부터 집중 건설된 고속도로가 2030년 이후 본격 노후화됨에 따라 기존의 사후·단편적 유지보수 방식에서 벗어나 근원적·예방적 보수 방식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출발했다.
30년 이상 노후 노선 비율은 2024년 9%(424㎞)에서 2030년 21%(1012㎞), 2040년 61%(3017㎞)로 증가한다. 같은 기간 구조물도 10%(1097개소)→24%(2956개소)→64%(7933개소)로 급증할 전망이다.
행사에서는 ▲노후 고속도로 리모델링의 필요성 및 향후 과제(국토연구원) ▲고속도로 노후 교량 리모델링 시범사업(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리모델링 사업 추진 방안(서울시립대학교) 순으로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국토교통부·학계·연구기관·건설업계·언론 등 전문가 패널이 토론을 이어갔다.
토론에서는 구간 단위 리모델링의 ▲타당성 및 시급성 ▲제도적 근거 보완 ▲재정 지원 필요성 ▲사회적 공감대 확보 ▲정책 추진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안 의원은 "한국보다 먼저 고속도로 노후화를 경험한 주요 선진국들은 뼈아픈 사회적 비용을 겪은 뒤에야 유지보수에 본격 투자하기 시작했다"며 "지금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미래에는 더 큰 사회적 비용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의원은 "고속도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국가 산업과 경제 발전을 지탱하는 핵심 기반시설"이라며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임시방편적 대응이 아닌 혁신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함 사장은 "고속도로 노후화 문제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시급한 과제로 이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안전과 내구성을 강화한 전면 리모델링 중심의 새로운 관리체계를 준비하고 있다"며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과제를 정부·국회·산업계 등과 협력해 제도화와 실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