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미국 내 운영 유지위한 미중 합의 임박
기존 사용자들, 별도 앱 내려받지 않아도 돼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미국 내에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국과 중국 간 합의가 임박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주 이를 승인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양국 합의에 따라 틱톡 사용자들은 별도의 앱을 새로 내려받을 필요없이 그대로 기존 앱을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시간) 백악관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틱톡의 새 미국법인 운영과 관련해 미중 간 기본 합의가 이뤄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합의가 법률상 요건을 충족한다는 행정명령에 이번 주 후반께 서명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합의의 주요 내용은 우선 틱톡의 미국법인 운영과 관련해 사모펀드 실버레이크, 클라우드 업체 오라클 등이 새 투자자(50% 지분)로 참여해 기존 투자자 지분(30%)을 포함해 전체 지분의 80%를 차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는 미국 법률이 정한 대로 20% 미만의 지분을 갖게 된다.
![]() |
틱톡 로고와 미국, 중국 국기 일러스트레이션 [사진=로이터 뉴스핌] |
또 새로운 틱톡 미국법인은 7인의 이사회가 운영하며, 바이트댄스는 1명의 이사만을 임명할 수 있지만 보안위원회(security committee) 구성에서 제외된다. 미국 정부는 이번 거래를 주선한 대가로 수십억 달러의 수수료를 받게 된다.
중국 당국의 통제 가능성이 제기됐던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은 바이트댄스가 제공하는 복제본을 미국 기업이 임대해 미국 정부와 오라클의 감독 아래 새로 구축된다. 또 사용자 데이터는 오라클이 운영하는 클라우드에 저장돼 중국 정부의 접근이 원천 차단될 예정이다.
WSJ은 다만 틱톡의 미국 내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공식적인 계약 성사까지는 추가적인 세부 조율과 법적 검토, 최종 투자자 확정 등의 절차가 남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 역시 '기술 수출' 허가 및 지적재산권 라이선스 사용 문제를 관련 법령에 따라 심의할 예정임을 밝힌 상태다.
틱톡은 미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사용되지만 모회사가 중국 기업이라는 이유로 개인정보 유출 위험과 이를 통한 안보 위협 우려가 미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됐고 미 의회는 지난해 4월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 금지를 명시한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