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상 축소, 계획 변경 소외 비판
공공의료 정책 철학 공개 요구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 공공의료 정상화를 요구하는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박형준 부산시장이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예정된 면담에서 옛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문제를 시민과 함께 논의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23일 오전 11시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형준 시장은 보건복지부 장관 면담에 앞서, '부산 공공병원, 시민과 함께 결정하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최근 언론을 통해 박 시장이 오는 29일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면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며 "늦었지만 지금의 중대 현안인 구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문제를 시장이 직접 장관을 만나서 논의한다는 그 자체만으로는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 |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공공의료정상화를 위한 노동·시민사회 단체들이 23일 오전 11시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구 침례병원 공공병원화와 관련해 시민과 함께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2025.09.23 |
이어 "하지만 면담을 앞두고 기대보다 우려가 앞선다. '보여기주기식'이나 '명분 쌓기용' 면담에 대한 우려"라며 "지난 2022년 부지 매입 이후 부산시가 제출한 제2보험자병원 계획안은 2023년과 2023년 연이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보류됐다. 부산시는 그 책임을 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탓으로 돌려 왔다"고 날을 세웠다.
또 "박 시장이 어떤 계획안을 들고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나는가 하는 문제도 있다"면서 "부산시는 2023년 500병상 급성기병원안을 제출했다가, 2024년 300병상으로 회복기병원안으로 방향을 급선회했다"고 직격했다.
이들은 "왜 병원이 급성기에서 회복기로 바뀌었는지, 왜 병상 규모가 줄었는지에 대한 시민은 어떠한 공식 설명도 듣지 못하면서 철저히 소외되고 있다"며 "응급의료 공백과 공공병원 부족으로 고통받는 부산시민의 절박한 요구에는 미달하는 '반쪽짜리' 공공병원일 뿐"이라고 쓴소리를 던졌다.
그러면서 "박형준 시장은 장관 면담에 앞서 시민에게 부산시 공공의료 정책의 철학과 비전, 실행체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발표해야 한다"며 "시민을 설득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책무가 있다. 이번 면담은 '장관과의 밀실 협상'이 아니라 '시민과의 건강한 토론'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박 시장은 보여주식, 안되면 말고식 무책임한 시정이 아니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의료 확대라는 결실을 가져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부산 구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는 2017년 파산한 후 방치돼 온 의료 공백 문제를 해결하고자 부산시가 499억 원을 투입해 매입했으나, 현재까지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사 보류 등으로 진척이 없고 민간 매각설까지 나오며 사업 추진이 표류하는 상태다.
부산지역 공공병원 비중이 전국 최하위 수준인 상황에서 구 침례병원 공공화는 지역 의료 인프라 강화와 시민 건강권 회복을 위한 핵심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