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시가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비해 입주시설 조성과 혁신도시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4일 시에 따르면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사업과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을 각각 연내 착공 및 사업자 선정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 두 사업을 합쳐 약 6만㎡ 규모에 1500~2000명이 입주 가능하며, 교통과 정주여건이 우수해 이전 대상 기관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대덕구 연축지구에도 이전 공간을 확보해 대형 공공기관 이전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6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기자회견에서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있는 이장우 대전시장. 2024.03.06 nn0416@newspim.com |
대전은 2020년 충남과 함께 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지연되면서 실제 입주 기관이 없는 '무늬만 혁신도시'에 머물렀다. 이에 시는 39개 중점 유치 대상을 정하고 수도권 기관과의 업무협약 체결, 경쟁력 홍보 등 사전 준비를 이어왔다. 최근 정부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2차 이전을 공식화함에 따라 대전시는 본격적인 유치 활동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시는 우수한 입지 조건을 바탕으로 바이오헬스·나노반도체·국방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 가능한 기관을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도권 공공기관을 직접 찾아 입지와 정주여건을 홍보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경쟁 심화에 대비한 실질적 유치 활동도 강화한다.
또 1차 이전에서 제외돼 세종시 출범으로 오히려 인구 유출을 겪은 대전의 특수성을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하며 우선 이전 배치를 강하게 요구할 방침이다. 충남도와의 공동 대응도 검토 중이다.
전재현 대전시 행정자치국장은 "대전은 정부가 이전 대상을 확정하면 즉시 이전이 가능할 만큼 준비돼 있다"며 "전략적 대응을 통해 대전혁신도시가 지역의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자리 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