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민주당 탓 셧다운 불가피"…비농업 고용보고서 발표도 차질 가능성
대만 반도체 '50대 50' 생산 요구, 에코스타 주파수 매각 협상에 급등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3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 개장 전 주가지수 선물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다만 최근 조정에도 불구하고 월스트리트는 이례적으로 강한 9월을 마무리하는 분위기다.
미 동부시간 오전 9시 10분(한국시간 오후 10시 1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 대비 5.25포인트(0.08%) 내린 6708.25에 거래됐다. 나스닥100 선물은 2.25포인트(0.01%) 하락한 2만4835.50, 다우 선물은 54.00포인트(0.12%) 밀린 4만6558.00을 기록했다.
![]() |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앞서 엔비디아가 오픈AI와 체결한 1000억 달러 규모 협력 계약은 사업 지속성에 대한 의구심을 키우며 AI 랠리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주 S&P500은 0.3% 떨어져 8월 초 이후 최악의 주간 성적을 냈고, 나스닥은 0.7% 밀렸다. 다우도 0.2% 내려 3주 만에 첫 손실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요 지수는 9월 마지막 거래일을 앞두고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다. 최근 5년간 9월 평균 4.2% 하락했던 S&P500은 이번 달 3% 이상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1.7% 올랐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약 5.3% 급등해 세 지수 중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한 30일은 3분기 마지막 날이기도 하다. 분기 기준 S&P500은 7.4%, 나스닥은 11%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다우도 1.7% 올라 5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셧다운, 시장 불안 키우나
다만 시장은 미 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을 경계하며 이날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통상 셧다운은 시장에 큰 파급력을 주지 않지만, 이번에는 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둔화하는 노동시장과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속 경기 둔화) 위험, 높은 밸류에이션 우려가 겹친 상황에서 셧다운이 신용평가사들의 추가 경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은 지난 5월 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로부터 신용등급 강등을 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공화 양당 지도부의 29일 회동이 별 소득없이 마무리 된 이후, JD 밴스 부통령은 저녁 "민주당이 옳은 일을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셧다운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노동부는 9월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10월 3일 발표될 예정이지만 정부가 업무를 중단하면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10월 정책회의를 앞두고 경기 방향성을 가늠할 핵심 지표 가운데 하나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말에 "셧다운은 연방 공무원 대량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위협한 것도 시장 불안을 키웠다.
◆ 전문가 "단기적으론 변동성 확대"
나틱시스 자산운용의 잭 야나시에비츠 수석 전략가는 "정부 셧다운은 단기적으로 시장 심리와 변동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투자자들은 노동시장 약화와 함께 관세 전가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며 "셧다운으로 경제 데이터 수집이 지연되면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금융시장 변동성도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불확실성이 경제와 위험자산에 직접 타격을 줄 정도일까? 아마 장기적 영향은 아니겠지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위험은 커진다"고 덧붙였다.
투자자문사인 바이털놀리지의 애덤 크리사풀리 창립자 역시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시장 심리를 짓누르고 경제 데이터 발표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워싱턴의 상황을 시장은 당연히 예상해왔기에 당장은 관망세지만, 2주 이상 이어지면 우려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셧다운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 증시에 대한 낙관론도 이어지고 있다.
BMO 캐피털마켓의 수석 전략가 브라이언 벨스키는 "긴축적 금리 환경과 견조한 실적 성장세가 증시를 추가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S&P500의 연말 전망치를 강세 시나리오인 7000으로 상향했다.
그는 "2025년은 2026~2027년을 위한 '골디락스 환경'을 준비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내년 기업 실적이 8~1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주식 상승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니며, 유동성이 여전히 풍부하다. 역사적으로도 9개월간 15~20% 올랐을 때 4분기 평균 수익률은 5.6%였다"고 강조했다.
![]() |
에코스타 로고와 위성 이미지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에코스타·셀시우스 강세, 파이어플라이 급락
개장 전 특징주로는 통신업체 ▲에코스타(NASDAQ: SATS)가 일부 무선 주파수 대역을 버라이즌(NYSE: VZ)에 매각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는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가 전해지며 개장 전 주가가 7% 급등했다. 반면 버라이즌의 주가는 큰 변동이 없었다.
에너지 음료 업체 ▲셀시우스 홀딩스(NASDAQ: CELH)는 모간스탠리가 투자의견을 '중립(equal weight)'에서 '비중 확대(overweight)'로 상향하면서 4% 가까이 올랐다. 매출 성장세가 시장 기대치를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구리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란(NYSE: FCX)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2% 상승했다. 인도네시아 광산 중단 리스크가 이미 주가에 반영됐으며, 구리 가격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이유다.
반면 우주기술업체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NYSE:FLY)는 텍사스 시설에서 발사 전 시험 중 로켓 부스터 1기가 폭발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10% 넘게 급락했다. 회사 측은 다른 시설은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폭발 영향에 대해 현재 평가 중이라고 밝혔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