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웨어러블 인공지능(AI) 진단 모니터링 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씨어스)는 자사 입원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씽크(thynC)'의 누적 수주잔고가 9월 30일 기준 1만3천 병상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이로써 씨어스는 상반기까지 누적 3000병상 설치를 완료한 데 이어, 하반기 들어서만 1만 병상 이상을 신규 수주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회사는 확보한 수주 병상을 빠르게 씽크 플랫폼으로 전환해 연내 국내 주요 병동에 대한 보급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4분기에도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신규 병상 수주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국내 총 병상 수는 약 70만 개에 달하지만, 현재 '씽크'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병상은 1만3000개 수준으로 시장 침투율은 아직 2%에 불과하다. 이는 '씽크'가 향후 매출과 실적을 더욱 크게 끌어올릴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 |
씨어스테크놀로지 로고. [사진=씨어스테크놀로지] |
'씽크'는 환자의 심전도, 산소포화도, 혈압, 체온 등 주요 생체신호를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병동 중앙 모니터에서 24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병상 시스템이다. EMR(전자의무기록)과 연동이 가능해 병원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특히 환자 안전 관리와 병상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강점으로 인해, 의료현장에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회사는 당초 내년까지 3000병상 확보를 목표로 했으나, 상반기에 이미 이를 조기 달성하면서 올해만 1만 병상 이상 구축하는 것으로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최근 AI 스마트 병동 인프라에 대한 관심 증가와 고령화 등으로 인한 간호 인력의 업무 부담이 커지면서 매달 수주 잔고를 경신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한편, 웨어러블 AI 심전도 분석 솔루션 '모비케어(mobiCARE™)'는 연말 건강검진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에 맞춰 진단 건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60여개 건강검진센터를 비롯해 1천여 곳에 달하는 의료기관에 도입된 모비케어는 부정맥 조기진단 수요 확대와 함께 하반기 실적 기여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씨어스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씽크의 누적 수주잔고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3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며, "4분기에는 모비케어 검사 건수의 큰 폭 증가가 더해져 2009년 창사 이래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