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9월 민간고용 '쇼크', 두 달째 '마이너스'
미 연준, 이달 금리 인하 예상
OPEC+, 11월 하루 최대 50만 배럴 증산 가능성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미 의회의 예산 편성 합의 실패로 연방 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이 시작되면서 1일(현지시간) 안전자산인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가는 공급 부담까지 겹쳐 16주래 최저치로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0.6% 오른 온스당 3,897.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현물은 장중 한때 장중 한때 사상 최고치인 3,895.09달러까지 치솟은 뒤 한국시간 기준 2일 오전 2시 48분 기준 온스당 3,861.77달러로 0.1% 상승했다.
미국 정부는 의회와 백악관이 예산안 합의에 실패하면서 대규모 행정 기능이 중단됐고, 이번 셧다운으로 금주 금요일 발표 예정이던 핵심 경제지표인 비농업고용지수(NFP) 공개도 지연될 가능성이 생겼다.
![]() |
금괴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날 미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이 발표한 9월 민간 부문 고용은 3만2000명 감소해 로이터 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5만명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8월 수치 역시 당초 5만4000명 증가에서 3000명 감소로 대폭 수정됐다.
마렉스 애널리스트 에드워드 메이어는 "보통 정부가 셧다운되면 미국에 대한 심리가 매우 부정적으로 바뀌면서 달러와 미국 증시가 타격을 받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부진한 ADP 민간 고용 보고서는 달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경기 둔화와 금리 하락은 금 가격에 호재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치가 연방준비제도의 추가 완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연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4.00~4.25%로 낮췄으며, 10월에도 추가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SP엔젤 애널리스트들은 노트에서 "현재 서방 투자자들, 특히 기관과 개인 모두의 금 투자 수요가 늘고 있다"며 "'놓칠까 두려운(FOMO)'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금 가격이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해도 놀라울 것이 없다"고 말했다.
유가는 이날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6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 셧다운이 세계 경제에 대한 우려를 키운 가운데,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가 다음 달 원유 공급을 늘릴 계획이라는 보도 여파가 계속되면서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2월물은 배럴당 68센트(1.0%) 내린 65.35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은 배럴당 59센트(0.9%) 떨어진 61.78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브렌트유 기준 6월 5일 이후, WTI 기준 5월 30일 이후 최저 마감가다.
리스타드 에너지의 애널리스트 자니브 샤는 "거래자들은 11월 OPEC+ 증산이 9월과 마찬가지로 하루 50만 배럴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미국과 아시아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했음에도 이런 전망이 나온다"고 말했다.
미국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9월 26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원유 재고는 180만 배럴 늘어나 로이터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100만 배럴 증가)를 웃돌았다.
하루 전 소식통들은 미국석유협회(API)가 같은 기간 원유 재고가 370만 배럴 감소했다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수석 애널리스트는 "수출 부진으로 원유 재고가 늘었다. 이는 수요 약화를 시사할 수 있다"며 "이미 정부 셧다운과 경기 둔화 우려로 큰 폭의 매도가 나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 주요 산유업체 다이아몬드백 에너지 대표는 유가가 배럴당 60달러 수준에 머물 경우 미국 내 원유 생산 성장이 정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가격 수준에서는 수익성이 확보되는 시추 현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