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귀성, 6일 귀경 차량으로 고속도로 정체 극심 전망
최근 5년 명절사고 167건 중 65.3%가 졸음·주시태만
2차 사고 치사율 일반사고의 6배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개천절과 한글날이 포함된 역대급 황금 연휴에 귀성·귀경객과 나들이객이 고속도로로 몰릴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장거리 운전 증가에 따른 졸음과 2차 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 |
2025년 추석 연휴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 전망치 [자료=한국도로공사] |
2일 한국도로공사는 추석 명절을 맞아 이날부터 12일까지를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올해 추석 연휴 기간 고속도로 총 통행량은 5962만대(일평균 542만대)일 전망이다. 일평균 최대 교통량은 추석 당일인 6일 667만대로 예상된다.
주요 도시간 이동이 가장 오래 걸리는 날은 5일(귀성), 6일(귀경) 월요일로 내다봤다. 구간별 최대 소요시간은 ▲서울~대전 4시간 30분(귀성)·5시간30분(귀경) ▲서울~부산 8시간10분·9시간50분 ▲서울~광주 6시간30분·8시간20분 등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귀성은 일부 구간에서 5~25분 늘거나 동일한 반면, 귀경은 전 구간에서 15~50분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공사는 연휴 기간 장거리·장시간 운전으로 피로가 누적되면서 졸음운전과 2차사고 위험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설·추석 연휴 교통사고는 167건이며, 이 가운데 졸음·주시태만이 109건으로 65.3%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명절 교통사고 사망자는 13명으로 집계됐고, 일반사고보다 치사율이 6배가 넘는 2차 사고 사망자는 3명(23.1%)이었다. 전체 기간 기준으로는 사고 8280건 중 졸음·주시태만 4848건(58.6%), 사망자 816명 중 2차사고 141명(17.3%)이다.
사고 예방을 위해선 장거리 운행 전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 수준으로 맞추고 마모 상태를 점검하는 등 차량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한다. 장시간 창문을 닫고 운전하면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졸음이 유발될 수 있어 주기적으로 환기하고, 피로를 느끼거나 2시간 이상 운전 시에는 휴게소·졸음쉼터에서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
2차사고를 막기 위한 행동 요령으로는 '비트밖스'를 기억해야 한다.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열어 후속 차량 주의를 환기시키고 ▲가드레일 밖 등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한 뒤 ▲스마트폰으로 사고를 신고하는 순서다. 공사는 고장 차량을 가까운 영업소·휴게소·졸음쉼터까지 무료로 견인하는 '긴급견인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10월은 추석과 가을 행락철 영향으로 안전띠 미착용과 음주운전이 집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최근 3년간(2022~2024년) 10월 안전띠 미착용 사망자는 12명으로 연중 가장 많다. 같은 기간 10월 전체 사망자 52명의 23%를 차지한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5명, 차종별로는 화물차가 8명으로 가장 많았다. 10월 음주 교통사고는 1424건 중 131건으로 비율 9.2%로 집계돼 월별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추석을 포함한 10월에는 긴 연휴로 고속도로 이용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운전자는 사전 점검과 충분한 휴식, 안전수칙 준수로 안전운전에 각별히 유의해 달라"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