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자신이 시 주석을 만날 이유가 없어진 것 같다고 했지만, 두 정상이 만나 무역 긴장감을 완화할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이야기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네트워크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상당히 긴장을 완화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 관세가 11월 1일까지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트럼프)는 한국에서 시 주석을 만날 것"이라며 "나는 그 만남이 여전히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 주 워싱턴 D.C.에서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의 연차 총회가 열리는 동안 부처 실무급 회의들이 다수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유럽 국가와 인도, 아시아의 민주주의 국가들을 포함한 동맹국의 지지를 기대하고 있다"며 "중국은 명령과 통제로 움직이는 경제이고 그들은 우리를 명령하지도, 통제하지도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0%의 추가 관세가 실제로 일어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명시한 11월 1일 전에 양국이 협상 타결을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도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중국 걱정하지 말라"며 "다 잘될 것"이라고 썼다. 그러면서 "매우 존경받는 시 주석은 잠시 안 좋은 순간을 겪었을 뿐"이라며 "그는 자국이 불황에 빠지길 원치 않고 나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JD 밴스 부통령 역시 중국 정부를 향해 "이성의 길을 선택하라"며 "이 싸움이 길어질수록 트럼프 대통령이 더 큰 협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베선트 장관은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좋다"며 "미국은 (희토류) 허가 요건을 거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안에 대해 미국이 더 많은 카드를 가지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10.13 mj72284@newspim.com |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