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 한-아세안 관계 수립 40주년 계기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발전 비전 제시
리창 中총리·다카이치 日총리 말레이 조우
"한미·한일 본격적인 대화는 경주 APEC"
[쿠알라룸푸르=뉴스핌] 박찬제 기자 김종원 선임 기자 = 대통령실은 26일(현지시간) "이재명 정부는 2029년 한-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계 수립 40주년을 바라보며 한국과 아세안 특별회의 개최를 천명하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CSP)를 발전시키는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동반자 관계는 아세안이 대외 국가와 맺는 최고의 관계로 영문으로는 CSP라고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27일 오전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위 실장은 "한국이 발표할 비전은 이 CSP 약자를 활용해 구성했으며 시(C)는 꿈과 희망을 이루는 조력자(contributor)를 뜻하고, 에스(S)는 성장과 혁신의 도약대(Spring broad for growth and innvoation)를 뜻한다"며 "피(P)는 역내 평화와 안정 동반자(Partner for Peace and stability)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 |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26일 저녁 아세안 정상회의가 열리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현지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 관련한 언론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KTV] |
특히 위 실장은 "최근 문제가 되는 초국가 범죄 근절을 위해 한국 경찰과 아세아나폴의 합동 수사를 포함한 한-아세안 협력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이재명 정부는 아세안 중요성에 기초해 아세안 정상들과 적극적인 외교를 벌였다"며 "오늘 아세안에 가입하는 동티모르를 제외한 아세안 약 10개 나라 정상들 대부분과 면담이나 통화, 서신 교환으로 소통했다. 이재명 정부 첫 국빈으로 베트남 당서기장이 방한했고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브루나이 정상이 참석한다"고 말했다.
아세안의 중요성과 관련해 위 실장은 "경제적으로 아세안은 국내 총생산(GDP)이 3조 8000억 달러로서 경제 규모로 세계 5위이며 6억 7000만의 인구로 세계 3위의 중요한 시장이자 생산 기지"이라고 말했다. 위 실장은 "지정학적으로 아세안은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전략적인 위치에 있다"면서 "한국 무역 물동량의 50% 이상, 원유 수입량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남중국해 해상 루트가 바로 아세안에 있다"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이미 아세안은 한국의 3대 교역 대상이고 투자 대상이며 건설 수주 시장이자 한국 국민이 해마다 1000만 명씩 방문하는 1위 해외 방문지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조우 가능성에 대해 위 실장은 "일정이 겹칠지는 모르겠지만, 조우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새 총리와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계기 조우 가능성에 대해 위 실장은 "잠시라도 조우할 가능성이 있다"며 "거기에 대한 대비는 하고 있지만 겹치는 시간이 그리 길 것 같지는 않다. 본격적인 협의와 대화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27일 예정된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이 리창 중국 총리와 다카이치 일본 새 총리와의 만남에 대해 위 실장은 "중국·일본 지도자와 교류할 수 있고 대화 내용도 유의에서 준비 중"이라며 다만 "본격적인 대화는 APEC이 열리는 한국에서 할 것 같고 이번 대화는 가벼운 조우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
APEC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위 실장은 "특별히 아는 것은 없다"며 "다만 어느 정도 대비할 생각은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한 이 대통령은 저녁에 현지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한다.
이튿날인 27일에는 첫 일정으로 캄보디아 훈 마네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한-캄보디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과 함께 온라인 스캠(사기) 범죄 대응 공조 등 양국 간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같은 날 오전에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며 이어지는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는 아세안과 한중일 간 협력 강화를 표명할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이 대통령이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와 함께 무역·투자·인프라·방산 등 실질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는 27일 저녁까지 진행된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경주 APEC 정상회의 준비를 위해서 27일 오후에 귀국길에 오른다. 나머지 일정은 조현 외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맡는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