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대출 관리 효율화·투명성 강화 기대
청년창업·재창업자금 등 실시간 검증체계 도입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기업 정책자금 관리에 디지털 기술이 본격 도입된다. 정책자금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검증하는 시스템이 운영되면서 비대면 기반의 대출 관리 효율성과 투명성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중소기업의 비대면 금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케이뱅크와 '정책자금 사전검증 시스템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협약식은 전날 서울 중구 케이뱅크 본사에서 진행됐다.
중진공은 기술력과 사업성이 우수한 기업에 장기·저리의 정책자금을 지원하고, 대출금이 목적에 맞게 쓰이는지를 점검하고 있다. 이런 관리 체계를 효율화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정책자금 사전검증 시스템을 도입했다.
|  | 
| 김일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업금융이사(오른쪽)가 30일 서울 케이뱅크 본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중진공] 2025.10.31 rang@newspim.com | 
이 시스템은 대출금의 사용 목적을 사전에 검증해 정책 취지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자금이 집행되도록 하는 제도다. 국세청 홈택스의 전자세금계산서나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의 가입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어 별도 서류 제출 없이 대출금 사용 내역을 증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 편의성과 자금 운용의 투명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평가다.
사전검증 시스템이 적용되는 주요 정책자금은 ▲청년전용창업자금 ▲재창업자금 ▲선제적 자율구조개선 프로그램 ▲3억원 초과 운전자금 등으로, 자금의 용도 외 사용 여부를 의무적으로 점검받게 된다.
이번 협약은 중진공이 사전검증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인터넷전문은행과 맺는 첫 협력 사례다. 케이뱅크의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활용해 정책자금 접근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일호 중진공 기업금융이사는 "중진공과 케이뱅크가 협력해 정책자금 검증 절차를 고도화하고 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이번 협약이 중소벤처기업으로부터 신뢰받는 금융 생태계를 조성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 
| 김일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업금융이사(오른쪽)가 30일 열린 케이뱅크와의 업무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중진공] 2025.10.31 rang@newspim.com | 
r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