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이공계 인력 유출 정책 대응'…"금전적 성과·보상 체계 혁신 필요하다"
"정부 이스라엘처럼 안보 등 첨단산업 초기 수요자·시장 형성자 역할 해야"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국내 이공계 출신 근무인력의 42.9%가 앞으로 3년 내 해외 이직을 고려하고 있으며 특히 20~30대인 MZ세대는 70%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3일 '이공계 인력의 해외유출 결정요인과 정책 대응방향'이라는 정책보고서에서 국내외 이공계인력 27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고등학교 최상위권 인재의 상당수가 의료분야 진학에 쏠림하고 있으며, 이공계를 선택한 인재들은 더 나은연구 환경과 경력 기회를 찾아 해외로 진출하는 인재유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연구착수 이유를 설명했다.
한은은 설문결과 해외 이직을 고려하는 이유로는 연봉 수준 등 금전적 요인이 가장 큰 비중(66.7%)을 차지했으며 특히 국내외 보상구조와 초기 경력 기회의 격차가 젊은 층의 해외 근무 선호를 높이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생태계·네트워크(61.1%), 경력기회 보장(48.8%) 등 비금전적 요인 역시 해외 이직을 고려하는 이유 중 적지 않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현 직장에 대한 만족도 역시 '연구생태계 및 네트워크'와 '근무여건'에서 국내외 격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시급한 과제로 '연구환경 개선'(39.4%)을 '과감한 금전 보상'(28.8%)보다 더 중요하게 꼽았다.
한은은 이 같은 설문조사결과를 계량분석해 소득 만족도가 '보통'에서 '만족' 으로 개선될 경우 만조도 1단위가 상승할 경우 해외 이직 확률은 4.0%포인트(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용안정성(-5.4%p)과 승진기회(-3.6%p)에 대한 만족도 개선시에도 해외 이직 확률은 낮아졌다.
전공별로는 바이오, 정보통신(IT) 등 신성장 분야 인력의 경우 연구환경과 자녀교육 요인의 영향이 큰 반면 여타 분야에서는 고용안정성 영향이 압도적이었다.
보고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공내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 ▲성과·보상체계와 정부의 세제지원 등 금전적 보상체계 혁신 ▲연구개발(R&D) 투자 실효성 강화 ▲기술창업 기반 확충 및 전략기술 개방을 통한 혁신 생태계 확장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특히 정부는 첨단 산업에서 초기 수요자로 나서 기술검증과 시장형성을 촉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구체적으로 이스라엘처럼 우주항공, 방위산업 등 안보상 전략기술 분야 등 철저한 제도적 안전장치와 기술보호 체계 아래 개방‧상용화 경로를 마련함으로써, 국가 안보자산을 보호하면서 민간 혁신과 산업 파급력을 함께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 |
| [자료=한국은행] 2025.11.03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