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양방향 반대표, 경로 명확성 저해
분주해진 국채시장, 포지션 조정
엄격해진 AI 투자 반응, 메타 함의
이 기사는 11월 3일 오전 11시3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최근까지 미국 주식시장의 시세를 뒷받침한 월가의 관대함이 주춤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연준)의 12월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어졌고 빅테크 결산에서는 인공지능(AI) 설비투자를 둘러싼 반응의 명암이 극명하게 갈렸다.
◆연준 기대 후퇴
지난주 29일 연준의 '12월 인하' 신중론은 종전까지 '12월 추가 인하'를 기정사실로 봤던 주식시장의 기대를 정면으로 가로막은 발표였다. 제롬 파월 의장은 당일 정책금리 25bp 인하를 발표하면서도 12월 추가 인하에 대해선 "기정사실이 아니다"고 했다.
![]() |
| 미국 주요 주가지수 및 자산군의 기간별 변동률 [자료=에드워드존스] |
![]() |
| S&P500 각 업종의 기간별 변동률(관련 ETF 기준) [자료=코이핀] |
금융시장의 반응은 국채시장이 즉각적이었다. 단기금리 선물시장 가격에 반영된 12월 인하 확률은 90%대에서 50% 수준으로 급락한 한편 10년물 국채 금리는 4%선으로 다시 올라섰다. 2년물은 2022년 이후 연준 정책 결정 당일 기준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이 초점을 둔 대목은 양방햔 반대표다. 스티브 미란 연준 이사가 50bp 인하를 주장한 반면 반대편에서는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의 제프리 슈미드 총재가 동결을 요구하며 당일 25bp 인하에 반대표를 던졌다. 뒤이어 그와 함께 2명의 연은 총재(비투표권자)가 공개 석상에서 동결론을 재차 주장했다.
양방향 반대표는 6년 만이다. 그만큼 내부 균열상이 짙어졌다는 신호다.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경제 평가가 혼재될수록 분열상은 계속되고 정책금리 경로의 명확성은 떨어질 수 있다. JP모간자산운용의 밥 미셸 글로벌 채권·외환·원자재 부문 책임자는 "데이터가 엇갈리면 반대표가 더 나올 것"이라고 했다.
국채시장의 대응이 분주해졌다. 루미스세일즈의 댄 퍼스 부회장은 "단기 정책 변동에 덜 노출된 중기물 채권으로 옮겨가라"라고 했다. 채권왕으로 불렸던 핌코 설립자 빌 그로스는 "10년물 국채 선물을 매도 중"이라며 "경제 성장률이 1~2%로 둔화해도 [국채] 공급량이 너무 많다"고 했다.
![]() |
| 10월 FOMC 전후 시장의 금리 인하 예상 경로 [자료=에드워드존스] |
연준의 정책금리를 둘러싼 예측력 약화의 영향은 시차를 두고 점진적으로 주식시장에 침투할 여지가 있다. 다만 당일 주식시장의 반응은 S&P500이 보합권에서 마무리하는 등 엔비디아(종목코드: NVDA) 강세발 '낙수 효과'에 의해 제한됐다.
◆엄격해진 AI 투자 반응
연준뿐 아니라 기업의 결산 발표 현장에서도 종전의 관대한 분위기가 달라졌다. 그동안 주가 상승을 견인해 온 빅테크의 AI 설비투자에 대한 주식시장의 태도가 엄격하게 변한 것이었다. 투자자들이 설비투자의 효율성을 따져 묻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따른다.
메타(META)가 대표적이다. 메타는 실적 발표 다음 날인 지난주 30일 하루 11% 급락했다. 메타는 AI 설비투자를 더 늘리되 일부는 부채로 조달하겠다고 했다. 다른 빅테크처럼 클라우드 사업이 없는 메타의 대규모 AI 투자금 회수 방안을 둘러싸고 경계감이 높아졌다.
찰스슈왑의 케빈 고든 거시전략 책임자는 "이번이 처음으로 AI 설비투자 증액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환영을 받지 못한 분기가 됐다"며 "투하자본수익률(ROIC)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고 했다. 젠슨인베스트먼트의 엘런 본드 매니징 디렉터는 "투자자들이 지출 규율을 점검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AI 투자의 수익성을 보여준 알파벳(GOOGL)과 아마존(AMZN)은 환호를 받았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생성형 AI 모델 기반 제품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넘게 늘었다고 발표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 사업부 성장세에 힘입어 주가가 다음 날 31일 10% 급등했다. 아마존은 "AI 쇼핑 챗봇이 연간 100억달러 추가 매출을 창출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수치까지 언급했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