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동탄 복선전철 8공구 발파 작업 후 광교호수중학교 유리 손상·타일 탈락
HJ중공업, 계측기 추가 설치 등 요청에 고(高)자세로..."발파가 원인 아닐 수도"
전문가 "발파 작업 영향일 가능성 있어...시공사는 책임 갖고 인근 상황 살펴야"
[서울=뉴스핌] 조수민 기자 = 최근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철거 현장의 붕괴 사고로 HJ중공업이 곤혹을 치르는 가운데, 넉 달 전에도 HJ중공업이 경기도 복선전철 공사 현장에서 발파 작업을 진행한 뒤 인근 학교 건물에서 균열과 타일 탈락 등 이상현상이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안정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무리한 공사 진행으로 울산 붕괴 사고가 벌어졌다는 의혹이 나오는 상황에서 HJ중공업의 시공 방침에 대해 주목이 쏠린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8공구' 사업장에서 발파 작업이 시작된 후 지난 7월 인근에 위치한 광교호수중학교에서 이상 현상이 발생했다.. 이유 없이 4층 여학생 화장실 출입문의 강화 유리가 깨지고 남학생 화장실의 타일 탈락 현상이 일어났다.
![]() |
| 소방대원들이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5호기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매몰된 근로자 구조해 이송하고 있다. [사진=울산소방본부] 2025.11.07 |
발파 작업이란 폭약으로 암반을 깨는 것으로 지하철·터널·철도 등 공사에서 암반을 제거할 때 활용된다. 작업 시 폭약이 폭발하면 지반을 통해 진동이 전달되고 이 진동이 인근 건물의 기초나 벽체에 전달되면 균열이 생기는 등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당시 호수중학교와 경기도교육청은 이 사업의 시공사인 HJ중공업 측에 이의를 제기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8공구 사업은 광교호수중학교와 광교호수공원 가족 캠핑장 사이에 수직으로 구멍을 뚫은 후 본선 터널로 진입해 남북 방향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지난 7월에는 발파 장소가 학교와 70~80m 가량 떨어져 있었지만 작업 순서를 고려하면 오는 12월까지 발파 위치가 점차 학교와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향후 더 큰 건물 손상이 생길 수 있다는 학교 측 우려가 나왔다. 또 당장 발생한 강화 유리 손상, 타일 탈락이 사소한 문제여도 장기적으로 건물의 안전성에 영향이 생겼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교호수중학교와 경기도교육청은 HJ중공업 측에 지반의 상황을 더 세세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학교 부지 내 계측기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것을 요청했다. 또 유리와 타일이 깨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지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HJ중공업은 학교의 화장실 유리 및 타일 재시공과 시트지 마련에 마지 못해 응하면서도 발파 작업과 건물 이상 현상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의 피해가 생길 수 있는 사안임에도 HJ중공업 관계자들은 상당히 고자세였다. 발파 작업으로 유리 파손과 타일 탈락이 발생했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직접적으로 원인 규명을 할 것이냐고 반문했다"며 HJ중공업 공사가 원인이 아닐 수도 있다면서 계측기 추가 설치도 4개 이상은 어렵다고 전했다"고 말했다.
수원교육지원청 관계자도 "HJ중공업은 타일 탈락이 최초로 타일을 시공한 업체가 발생시킨 하자 때문이라고 주장했다"며 "그러나 해당 업체가 타일 재시공을 실시한지 1년 반이 지났는데 갑자기 타일이 누락된 것은 타일 자체의 하자라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강화 유리의 경우 깨진 채로 발견되기 3일 전에 HJ중공업이 강하게 발파 작업을 했다고 들었다"며 "다만 HJ중공업은 타일 재시공 등 조치를 해주겠다고 하면서도 이런 상황의 원인이 발파 작업이라는 것은 100%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HJ중공업이 발파 작업 등 공사를 수행할 때 인근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고려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폭약의 양을 조절하고 사전에 충분한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등 준비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김정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도시개혁센터 정책위원장은 "타일은 강도가 강하고 콘크리트보다 표면이 더 단단하다. 이 때문에 건축물 변이가 생기면 타일에 먼저 변화가 나타난다"면서 "광교호수중학교 사례도 건축물에 변이가 생긴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2020년 개교한 학교인 만큼 건축물이 노후화된 상황도 아닌데 갑자기 타일 탈락이 관찰됐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며 "발파 작업의 영향이 없다고 보기 힘들고 시공사도 책임을 갖고 이 문제에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HJ중공업 측 입장을 묻고자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다. HJ중공업은 최근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철거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의 원인으로 HJ중공업의 안일한 안전 의식과 무리한 공사 강행이 지목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blue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