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연구, 120명 대상 근감소증·골다공증 효과 검증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디지털치료기기 전문기업 베이글랩스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과 공동으로 AI(인공지능) 기반 근골격계 재활 디지털치료기기 'DEX-2'의 임상시험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베이글랩스는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엑스페릭스의 헬스케어 계열사로, 이번 임상시험을 위해 AI 기반 영상인식 솔루션을 자체 개발했다. DEX-2는 양 기관이 지난 2022년부터 공동으로 개발해 온 차세대 디지털 재활치료 플랫폼이다.
특히 DEX-2는 AI 기반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해 환자의 관절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정밀 모니터링하고, 자세 및 운동 수행 횟수를 자동으로 피드백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는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 전면 카메라를 통해 TV 화면 속 운동처방사의 시연을 따라 하는 방식으로 집에서도 손쉽게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 |
| DEX-2 임상시험 착수 기념촬영. [사진=베이글랩스] |
또한 DEX-2는 AI가 사용자의 신체 능력을 자동으로 평가해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개인별 상태에 따라 운동 난이도를 실시간 조정한다. 앉았다 일어서기, 뒤꿈치 들기 등 핵심 동작은 전용 하드웨어와 연동되어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도 손쉽게 반복 횟수를 기록하며 일상 속 재활운동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번 임상시험은 약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근감소증, 골다공증, 무릎골관절염 등 세 가지 주요 근골격계 질환군에서 DEX-2의 운동 중재 효과를 평가한다. 특히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근감소증 영역에서 DEX-2가 새로운 비약물적 치료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베이글랩스 박수홍 대표는 "DEX-2는 단순한 재활보조기기가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진화하는 AI 코칭 솔루션"이라며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근감소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관리 영역에서 디지털치료제가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겠다"고 밝혔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는 "근감소증은 노년기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이지만 아직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라며 "DEX-2와 같은 혁신적인 디지털 치료 플랫폼이 현재 개발 중인 근감소증 신약과 융합된다면, 치료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강력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되며,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비롯해 서울대학교병원이 운영하는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등에서 참여자를 모집하는 다기관 임상시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