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립 십대여성일시지원센터 나무 12월 운영 종료
위기 여성 청소년 건강문제·성폭력 등 상대적 취약
서울시 내년 1월 통합지원센터 개소 예정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시립 '십대여성일시지원센터 나무(나무)'가 12월 운영을 종료한다. 나무는 위기 십대여성지원센터로, 지난 2013년부터 가출 여성 청소년 등의 쉼터가 돼왔던 곳이다. 서울시 등은 유사기관과의 기능 중복 등을 이유로 기관 통폐합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나는봄' 역시 지난 7월 서울시 운영 종료 결정으로 문을 닫았다. 이처럼 잇따른 위기 여성 청소년 관련 기관의 운영 종료로 인한 보호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 |
| 잇따른 여성 청소년 관련 기관의 운영 종료로 보호 공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뉴스핌 DB]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에 따르면 초(4~6), 중·고등학생 중 가출 경험이 있는 이들의 가출이유 1위는 '부모님과의 문제 때문에'로 드러났다. 2위는 '학업문제 때문에'다. 특히 '부모님과의 문제 때문에'라는 답변은 2023년 52%에서 2024년 70.2%로 증가했다. 가출하는 아동·청소년 10명 중 7명은 가정 문제가 원인인 것이다. 이런 경우 건강 지원 등과 함께 머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앞서 십대여성일시지원센터 나무는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활동 종료 소식을 전하면서 "나무는 기존 제도와 지원의 틈을 메우며 측정할 수 없는 관계와 시간을 이어왔다"며 "누군가는 나무를 '중복된 시설'이라 하지만, 나무를 거쳐간 청소년들은 나무를 특별한 공간이라고 말한다"고 전했다.
서울시 내 위기 여성 청소년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은 나무 외에도 있지만,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관들이 연이어 운영이 종료되는 것에 대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위기 여성 청소년은 건강상태 등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우가 많다. 성과 관련된 폭력 문제 등에도 노출되기 쉽다.
성평등가족부가 지난 4월 발표한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에 따르면 남성 청소년은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은 편'이라고 응답한 긍정응답률이 82.4%였지만, 여성 청소년은 69.0%로 나타났다. 정서적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응답률 역시 남성 청소년 76.8%, 여성 청소년 60.5%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나는봄은 지난 7월 운영 종료 이후 시민 등의 후원으로 별개의 민간 비영리단체를 설립해 현재는 주 1회 무료 진료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이가희 여성청소년건강지원단 나는봄 활동가는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운영일 기준으로 매회 5~10명 내외의 청소년이 방문한다"고 전했다. 현재 나는봄은 매주 목요일 14시부터 19시까지 운영한다.
이 활동가는 "청소년들은 임신, 성폭력 피해, 정신건강 등 민감한 문제일수록 부모에게 노출되는 두려움 때문에 의료기관 접근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며 "여성 청소년은 성·재생산 건강 문제에 더해 사회적 낙인, 경제적 낙인이 겹쳐 의료 접근이 한층 더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효율과 통합을 내세운 새로운 시설이 아니라 의료 접근권의 문턱을 낮춘 보편적 복지 시스템이다"라고 전했다.
서울시는 지난 6월 나는봄 운영 종료 소식을 알리면서 내년 초 위기 청소년 통합지원센터를 출범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13일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내년 1월 개소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온라인 성착취나 의료 지원시스템, 상담과 구조·연계 등을 통합해서 운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머물 수 있는 공간도 있다. 다만, 위기 여성 청소년 뿐만 아니라 남성 청소년들에 대한 지원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이다.
여성 청소년 보호를 위해서는 통합지원이 아닌 세분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있다.
권김현영 여성현실연구소장은 "위기 여성 청소년들은 남성 청소년과 다르게 몸과 성을 둘러싼 폭력에 노출되거나 관련된 사회적 위험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원이 분리될 필요가 있다"며 "청소년들은 지역적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지역별 지원체계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합지원 체계에 대해서는 "집중 기관은 사례가 쌓여서 문제 파악이 빠른데 지원이 합쳐져 버리면 문제 파악이 느려지고 제대로 된 지원을 놓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gdy1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