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10·15 대책 이후 대출규제와 규제지역 확대가 동시에 이뤄지면서 주택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 |
| 1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동향 [사진=주택산업연구원] |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 전국 지수는 전월 대비 20.7포인트(p) 하락한 65.9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31.0p 하락한 64.1로 전망됐다. 서울은 35.1p, 경기는 32.0p, 인천은 26.2p 하락했다.
주산연은 "10·15 대책 이후 대출규제 강화와 규제지역 확대가 동시에 이뤄지면서 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특히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되며 수도권 전반의 매수심리가 빠르게 위축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책 발표 이후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폭이 둔화되고 분당·과천·광명 등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경기 주요 지역 역시 상승세가 축소되며 시장이 관망세로 전환됐다. 규제 시행 직전에는 '막차 수요'가 몰리며 단기 과열을 보였지만 시행 이후 거래량이 급감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대책 시행 후(10월 16~25일) 564건으로, 발표 전(10월 6~15일) 2679건 대비 78.9% 감소했다.
비수도권은 전월 대비 18.5p 하락한 66.3으로 전망됐다. 광역시는 16.0p 하락한 73.8로 전망됐으며 도지역 역시 20.3p 하락해 60.7로 전망됐다.
광역시는 울산 28.6p(105.5→76.9), 대전 21.9p(93.3→71.4), 부산 20.7p(85.7→65.0), 세종 16.7p(100.0→83.3), 대구 10.3p(76.9→66.6) 순으로 하락했고 광주는 2.3p(77.7→80.0) 상승했다.
도지역은 강원 44.4p(77.7→33.3), 충북 27.5p(90.0→62.5), 전북 25.0p(91.6→66.6), 제주 23.9p(70.5→46.6), 전남 14.5p(70.0→55.5), 경남 13.3p(86.6→73.3), 충남 10.6p(83.3→72.7), 경북 3.5p(78.5→75.0) 순으로 모두 하락했다.
이달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13.1p 상승한 73.4로 전망됐고 자재수급지수는 전월대비 3.2p 상승한 96.6으로 집계됐다.
min7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