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권 위원장, 13일 국방부 기자실서 사고조사 결과 발표
"CCTV 분석 결과 상승선회 중 속도 저하…실속 진입 확인"
"엔진 내부 이물 손상 발견, 조종 집중력 저해 가능성"
해군 "조종사 양성·훈련 강화…비행안전체계 전면 보완"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해군은 지난 5월 경북 포항 해군비행장 인근에서 발생한 P-3CK 해상초계기 추락사고의 원인을 "상승선회 중 저고도·저에너지 상태에서 실속(失速)에 진입, 회복 불가 상태로 추락"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조사 결과, 조종 수행 미숙과 실속 경보장치 부재, 인력 및 훈련 부족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 |
| 지난 5월 29일 경북 포항 해군비행장 인근에서 추락한 P-3CK 해상초계기와 동형인 P‑3CK가 서해상에서 초계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2025.11.13 gomsi@newspim.com |
사고는 지난 5월 29일 오전, 항법훈련과 이착륙훈련을 위해 제주기지에서 출발한 P-3CK 해상초계기가 포항기지에서 2차 이착륙훈련 중 상승선회 도중 급강하해 활주로 끝단 남동쪽 1.6km 지점에 추락하며 발생했다. 조종사 4명이 순직했다.
해군은 사고 직후 참모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사고대책본부와 민관군 합동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했다. 조사위는 현장조사, 잔해수거, 기체 재구성, 엔진·프로펠러·조종계통 정밀감정, 인적요인 분석, 상황 재연 등을 통해 사고 원인을 규명했다.
조사위는 사고 당시 기체가 급하강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음성기록장치(Cockpit Voice Recorder, CVR)와 유사한 장치의 복원을 시도했으나, 지상 충돌과 화재로 손상돼 복구하지 못했다. 해당 구역은 관제레이더 사각지대여서 항적자료 역시 확보되지 않았다. 사고 초계기는 비행기록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기종으로, 대신 사고비행 전 과정을 포착한 CCTV 영상이 유일한 분석 자료로 활용됐다.
CCTV 분석 결과, 사고기는 이륙 상승 초기에는 속도·고도·자세가 정상이었으나, 상승선회 구간 진입 후 속도가 감소하고, 고도 상승이 미미하며, 자세각이 높고 경사각이 깊은 상태로 '실속 여유'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유로 해당 초계기가 양력을 유지하지 못한 채 조종 불능상태로 빠진 것으로 분석됐다.
시뮬레이터 분석에서는 사고기의 상승선회 구간에서 엔진출력과 프로펠러 각도가 정상보다 낮았던 것으로 추정됐다. 프로펠러 잔해 조사에서도 조종사가 실속 회복 절차 중 출력을 줄였던 정황이 확인됐다. 지면 충돌 직전 낙하로 속도가 일시 회복됐으나, 고도가 낮아 회복은 불가능했다.
엔진·연료·유압 등 기계계통은 지상 충돌 전까지 작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1번 엔진 파워터빈 1단에서 연소실 물질로 인한 내부이물질손상(IOD, Internal Object Damage)이 발견됐다. 연소실 일부 금속이 떨어져 나와 터빈을 손상시킨 것으로 추정되며, 손상 정도가 추진력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조종사 주의력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고 조사위는 밝혔다.
사고기에는 실속 경보장치가 장착되지 않았고, 받음각 지시계(AOA indicator) 또한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어 조종사의 실속 징후 인지가 늦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또한 비행교범상 실속 회복훈련 및 조종불능 회복훈련을 시행하지 않아 비상상황 대응 숙련도가 낮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사고 시 낮은 고도에서 급강하해 회복 가능한 여유 고도가 부족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조사위는 장기간 인력 부족과 그로 인한 훈련 기회 축소, 비행기량 관리 미흡이 구조적으로 비행 안전을 약화시킨 배경이 됐다고 밝혔다.
해군은 후속조치로 P-3 조종사 양성과 비행훈련을 강화하기로 했다. 해군 관계자는 "인력획득 단계별 비행훈련·운영계획을 재정비하고, 조종사 충원을 위한 인사관리 방안을 추진한다"면서 "정비 측면에서는 엔진 연소실 주기검사 단축, 받음각 지시계 위치 변경 및 추가 설치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해군항공사 전체의 비행안전관리 기능을 높이기 위해 비행운영 예규 보완과 기종별 안전관리담당자 보강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P-3CK 기종의 비행 재개 시점은 향후 시험비행과 단계적 훈련을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해군은 이미 P-3C·P-3CK 항공기 전력의 엔진 연소실에 대한 비디오스코프 정밀검사를 완료해 이상 없음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조종사 및 승무원의 심리 안정 프로그램도 병행 중이다.
조정권 사고조사위원장은 "순직 장병들의 희생을 깊이 애도하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비행안전체계 전반을 점검해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