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업체 수의계약 공정성 훼손 주장
지역 상권과 상생 방향 재정립 필요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의회에서 부산관광공사가 추진한 글로벌 미식도시 브랜딩 사업이 일부 고급 식당 중심으로 운영돼 지역 소상공인을 외면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 |
|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김효정 의원(오른쪽)이 지난 17일 부산관광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미식관광사업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사진=부산시의회] 2025.11.18 |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는 김효정 의원이 지난 17일 부산관광공사를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글로벌 미식도시 브랜딩 사업이 일부 고급 식당 중심으로 운영돼 지역 소상공인을 외면했다"고 사업 예산 편중과 운영 공정성을 강하게 질타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난 3월 열린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A50BR)' 관계자 팸투어에 포함된 '와인바 교류 행사'를 문제 삼았다. 그는 "시민 참여 없이 고급 와인바 네트워크 행사를 세금으로 운영한 것은 생활고에 허덕이는 지역 소상공인의 현실과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4월에 개최된 'GASTRO DOMO(부산 셰프의 날)' 행사에 약 2억 원이 투입된 점을 지적하며 "참가자 60여 명 규모의 행사를 특정 업체와 수의계약으로 진행한 것은 사업자 선정의 공정성을 훼손한 사례"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공사가 미쉐린 연계 사업에 8억 원을 투입하는 동안, 부산의 돼지국밥·밀면 등 로컬·스트릿푸드 활성화 예산은 2000만 원 규모의 가이드북 제작에 그쳤다"며 예산 편중 문제를 제기했다.
또 "부산을 찾는 관광객이 원하는 미식 관광은 고급 식당이 아닌, 부산만의 맛을 경험할 수 있는 노포와 로컬 맛집"이라며 "공사가 지역 상권과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중심으로 사업 방향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ndh400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