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아르코미술관은 아르코 예술창작실에 입주한 다양한 국적의 10명의 작가들이 참여한 전시 '인 시투 In Situ'를 개최한다.
'인 시투 In Situ'는 올 6월 평창동에 개관한 아르코 예술창작실에 입주한 1, 2기 작가들의 작업을 소개하고 작가들이 입주 후 탐색해 온 '현장'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전시로 기획됐다. 오는 20일부터 2026년 1월 18일까지 아르코 미술관에서 전시가 개최된다.
![]() |
|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 작가전 '인 시투' 전경. [사진=예술위] |
전시 제목인 '인 시투 In Situ'는 '본연의 장소, 현장에서'라는 뜻의 라틴어로, 작업실로부터 전시장까지 이어지는 작가들의 창작활동을 현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시는 작가들의 작업 과정에 집중하여 스튜디오 공간을 미술관으로 옮겨 재현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시간과 공간을 겹치고 펼쳐놓는 장을 형성한다.
특히 올해 첫 사업인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작가로는 다양한 지리적, 문화적 배경의 참여작가 10명이 선정됐다. 1기에 손수민(한국), 윤향로(한국), 발터 토른베르크(핀란드), 부이 바오 트람(베트남), 유스케 타니나카(일본), 2기 박정혜(한국), 서희(한국), 카타즈나 마주르(폴란드), 크리스티앙 슈바르츠(오스트리아), 우고 멘데스(모잠비크)가 이번 전시에 참여한다.
참여작가 10인은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 기간에 거쳐 구상하고 제작한 다양한 작업을 소개한다. 유스케 타니나카는 전통과 과학, 신체와 시각 간의 관계를 통해 동시대의 치유 미학을 고민하고, 랍(Rab)은 한국의 민속과 일상 속에 존재하는 까치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한 작업을, 윤향로는 작가가 주변에서 마주했던 풍경이 작가에게 남긴 경험과 감각을 기록한 캔버스를 전시한다. 발터 토른베르크는 미술관으로 상징될 수 있는 제도와 권위를 비판하는 관객 참여형 작업을 선보이며, 손수민은 피아노라는 악기를 매개로 한국 사회의 모습을 투영한 영상 3점을 소개한다.
![]() |
|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 작가전 '인 시투' 전경. [사진=예술위] |
2층에는 2기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된다. 크리스티앙 슈바르츠는 도시의 무선 통신 인프라가 만들어낸 도시의 풍경에 주목하고, 박정혜 작가는 시스템 내 존재하는 중의적인 사물들과 그것이 상징하는 것 사이의 관계를 탐색한다. 서희는 외국인으로서 경험한 타지의 의미를 설치물이라는 매개로 드러내고, 카타즈나 마수르는 개인의 기억과 국가적 서사를 사진과 설치물로 보여주며, 우고 멘데스는 모잠비크 전통 공예가 함의한 집단적 기억의 층위를 판화를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레지던시 2기 참여 작가 우고 멘데스는 "한국과 모잠비크를 관통하는 저희의 공통된 과거를 보여주고 싶었다"면서 "한국은 일본 그리고 공차메큐는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 서사를 공유하고 있다. 그 이후 냉전시대에도 불황과 어려움을 겪었다. 두 국가에서 모두 어떻게 이런 식민시대와 정부의 억압, 독재나 검열 속에서도 어떻게 사람들이 회복을 해왔고 오늘날까지 지속력 있게 존재해 왔는지를 다루고자 했다"고 작품의 의미를 밝혔다.
![]() |
|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 작가전 '인 시투'에 참여한 우고 멘데스 작가. |
한국 국적의 박성은 작가는 "아르코 레지던시에 들어오면서 리마인드 해보니 작업실 이사를 10번을 했더라. 시공간이 바뀌어도 저는 변하지 않는 정신적 차원의 작업실을 상상해볼 수 있지 않을까. 푸코의 헤테로피아라는 개념처럼 제 주변의 상황이 변해도 변치 않는 정신적 영역의 공감이 있다고 생각했다. 전시에서는 시간의 변화들을 상상해 볼 수 있는 낮과 밤의 시간대에 볼 수 있는 작업들, 컨스턴스(밀도)를 줘서 개조를 해서 설치했다"고 작품을 설명했다.
전시를 기획한 신보슬 예술창작실 프로그램 디렉터는 아트센터 나비,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 의정부디지털아트페스티벌, 대안공간 루프 등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예술을 배움의 장으로 확장하는 활동을 이어왔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대학원과 토탈미술관에서 여러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신보슬 디렉터는 "레지던시 지원 기간이 4개월 정도로 짧아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한다기보다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한국을 방문해 한국과 조금 더 익숙해지고 한국 작가들과의 교류에 대해서 조금 더 많이 방점을 찍는 프로그램"이라고 레지던시 지원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레지던시 결과 보고전이라기보다는 레지던시를 소개하고 선정된 작가님들을 국내 미술 현장에 소개하는 개념의 개념이 조금 더 강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이번 작가전의 의미를 얘기했다.
![]() |
|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 작가전 '인 시투'에 참여한 박성은 작가. |
또 '시투 인'이라는 전시 명에 대해 "현장에서라는 뜻을 갖고 있다"면서 "시간, 환경 속에서 형성된 작업들을 보여드리려고 했다. 또 전시이긴 하지만 레지던시를 소개한다는 측면도 간과할 수 없어 가급적 작가님들의 다양한 작업을 소개해 드릴 수 있을까와 동시에 각자가 거주한 공간의 흔적이라든지 작업 과정에서 발생된 재료나 실험 같은 것들, 레지던시 안에서의 만남과 상호작용을 잘 담아보려고 노력했다"고 전시의 기획 포인트를 짚었다.
이한신 관장은 "아르코 예술창작실 사업이 국내외 예술가들의 창작과 교류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라고 밝혔다.
전시 연계프로그램으로는 입주작가들이 자신의 작업에 대해 관객들과 이야기하는 '작가와의 대화'(11월21일)와 국내 레지던시의 현황과 미래를 레지던시 운영자의 시각으로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2026년 1월)이 진행될 예정이다.
jyy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