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 설문분석] ③ "곡물가격 상승, 단기 투자 매력 커졌다"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저금리의 패러다임으로 바뀌면서 자산관리에서도 글로벌화가 중요해졌습니다. 뉴스핌은 이런 추세에 맞춰 글로벌 자산관리(GAM: Global Asset Management)에 필요한 전략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국내 유수 금융기관들의 단기(1~3개월), 중기(3개월~1년), 장기(1년 이상)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을 종합해 매월 [뉴스핌GAM]으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편집자 註]
이번 설문에 응해 주신 29개 금융기관(업종별·회사별 가나다 순): 교보생명(박인섭 노블리에지원팀장) 미래에셋생명(황재석 변액보험운용팀장) 삼성생명(차은주 패밀리오피스 차장) 신한생명(서홍진 빅라이프센터장) 한화생명(김기홍 강남FA센터장) (이상 보험사) 국민은행(박정림 WM사업본부장) 기업은행(서미영 PB고객부장) 신한은행(유동욱 IPS본부장) 씨티은행(박병탁 WM사업본부 부행장) 우리은행(김옥정 WM사업단상무) 하나은행(이형일 PB사업부 본부장) NH농협은행(원종찬 WM사업부장) SC은행(이동원 WM/PB사업 총괄이사) (이상 은행) 삼성자산운용(김진형 리테일영업본부장) 한국투자신탁운용(김현전 최고마케팅(CMO) 전무) KB자산운용(하성호 상품전략실 이사) (이상 자산운용사) 교보증권(김영준 리서치센터장) 대신증권(문남식 패밀리오피스상품부 이사) 메리츠종금증권(박태동 글로벌 트레이딩 총괄상무) 미래에셋증권 글로벌자산배분팀 삼성증권 신영증권 우리투자증권(김정남 100세시대연구소 연구위원) 하이투자증권(박상현 리서치센터 상무) 한국투자증권 한화증권(변동환 투자컨설팅파트장) 현대증권(박수명 상품전략부 부장) KTB투자증권(김준영 압구정금융센터장) HMC투자증권(이영원 투자전략팀장) (이상 증권사)
[뉴스핌=이에라 기자] 세계 원자재 시장의 큰 손 '중국'의 불안한 모습에 금속에 대한 단기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중국의 신용시장 위기와 제조업 지표 부진이 불거지자 금속에 대한 단기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이다.
8일 뉴스핌이 은행, 증권, 보험, 자산운용사 등 29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4월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4명 가운데 단기 투자 비중을 축소하라고 답한 응답자는 11명(45%)으로 집계됐다. 곡물, 원유, 금 등 전체 상품군 가운데 축소비중이 가장 높았다. 반면 비중을 유지하라고 답한 응답자도 전체 과반(12명)이나 됐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이와 다른 결과가 나왔다. 비중을 유지하거나 확대(적극확대 포함)하라는 전문가가 19명으로 82%에 달했다. 비중을 축소하라는 답변은 전체 17%인 4명에 그쳤다.
중기적으로는 8명의 응답자가 비중을 축소하라고 답했고, 13명이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글로벌 금속 수요의 40% 가량을 차지하는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등 성장 둔화 우려가 단기 투자 심리 발목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옥정 우리은행 WM사업단 상무는 "신흥국 원자재 수요 부진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금속에 대한 단기 투자 비중을 축소하라"고 말했다.
박태동 메리츠종금증권 글로벌트레이딩 총괄상무는 "단기적으로는 좋고 나쁨이 반복될 수 있지만 현재 가격대가 낮은 수준인 것은 분명하다"고 진단했다.
박 상무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7%대 초반에 그치고 있는 데 일정 기간 지나면 확장 정책을 쓰게 될 것"이라며 "미국, 유럽 경기에 대한 확신이 생기면 수출 위주의 중국도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 장기적으로 원자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이 그림자 금융, 은행 부채 등의 이슈로 소프트랜딩에 주력하고 있고, 당분간은 확장과 수축 정책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에서다.
단기적인 투자 매력도가 가장 높은 상품은 곡물인 것으로 조사됐다.
곡물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9명(40%)이 단기적으로 비중을 확대하라고 답했다. 중장기적으로는 각각 7명, 6명이 확대하라고 응답했다.
전세계적으로 이상 기후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국제 곡물 가격 상승이 단기 투자 매력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단기적으로 곡물을 축소하라고 한 전문가는 전체 26%인 6명이었고, 중장기적으로는 각각 30%인 7명이 이를 선택했다.
금과 원유는 단기적으로도 현재의 비중을 유지하라고 전체 과반 이상인 14명이 응답했다.
중기적으로 금의 비중을 유지하라는 응답자는 전체 절반에 달하는 11명이었고, 비중을 축소하라는 응답자는 8명이었다. 5명은 비중을 확대하라고 답했다.
장기적으로는 금에 대한 비중을 줄이라는 답변이 9명으로 가장 많았다. 7명은 비중을 유지하라고 답했고, 각각 6명과 1명이 비중을 확대, 적극 확대하라고 조언했다.
올해 금값에 대해서도 현 수준(4일 기준 온스당 1303.50달러)에서 움직일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응답자 가운데 41%인 7명이 온스당 1200~1300달러에서 금값이 형성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29%(5명)가 1300달러 이상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박 상무는 "온스당 1200달러 수준에서 중국의 중앙은행이 금을 꾸준히 매입하고 있어 하방경직성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향후 경기가 개선되고 인플레이션 예쌍에 따른 헤지 수단이 되면 향후 1300달러 이상으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수준보다 떨어질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약 30% 수준이었다. 11%(2명)은 1000~1100달러, 17%(3명)은 1100~1200달러를 꼽았다.
원유는 중기적으로도 비중율 유지하라는 전문가가 절반을 넘는 14명으로 집계됐다. 비중을 축소하라는 답변은 16%인 4명이었다.
장기적으로는 비중 유지가 13명, 각각 5명, 6명이 축소와 확대를 꼽았다.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