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 엑손에 1.8조원 배상 명령…통화가치, 바닥으로 추락
[뉴스핌=주명호 기자] 우고 차베스 전 대통령 시절 강행했던 기업 국유화 정책이 베네수엘라에 배상금 지불 역풍으로 되돌아왔다. 달러화와 같은 경화(hard currency)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적지 않은 배상 규모는 베네수엘라 정부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WB) 산하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는 9일(현지시각) 베네수엘라 정부에게 2007년 유전개발시설을 강제 압류당한 엑손모빌에 16억6000만달러( 1조7770억원)의 배상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 당시 국영석유회사 PDVSA와의 합작 제의를 엑손이 거절하자, 베네수엘라 정부는 엑손의 세로 네그로(Cerro Negro) 유전개발 시설을 압류시켰다.
일단 베네수엘라 측은 지불 규모가 합리적인 수준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베네수엘라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베네수엘라 정부와 국민들은 이 같은 초국가적 공격을 막아낼 여력이 있다"고 단언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엑손이 원래 주장했던 배상 규모는 100억달러(약 10조7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베네수엘라의 만성적 경화 부족으로 인해 일각에서는 지불 능력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3월만 해도 베네수엘라 암시장에서 볼리바르화는 달러당 60볼리바르 수준이었지만 지난주 100볼리바르를 돌파하며 통화가치가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2013년 초 볼리바르화는 달러당 17볼리바르 수준에서 거래됐었다.
컨설팅업체 에코아날리티카의 아스드루발 올리베로스 수석은 "베네수엘라 정부가 이번 결정에 자신만만해 하지만, 심각한 현금흐름 문제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베네수엘라가 항소를 통해 보상 지불기한을 연기하는 동시에 배상 규모를 줄이기 위한 협상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유화 정책과 관련해 20여 건이 넘는 소송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란 점도 베네수엘라 정부의 향후 행보를 짐작케 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뉴스핌 Newspim] 주명호 기자 (joom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