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건설업체 38% 늘고 일자리는 8% 늘어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이명박정부에 이어 박근혜정부도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건설업 부양책을 추진했지만 일자리 창출 효과는 미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1일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잠정결과'를 발표했다. 2015년 말 전국 사업체 수는 387만5000개로 2010년에 비해 15.5% 증가했다. 연평균 2.9% 증가한 셈이다.
산업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전체 21개 산업대분류 중 19개 업종에 대해 조사됐다.
![]() |
(자료: 통계청) |
산업별 사업체 수는 5년 전(2010년)과 비교하면 예술·스포츠·여가 업종만 1.9% 감소하고 모든 업종에서 증가했다(그래프 참고).
산업별 종사자 수는 2015년 말 2079만1000명으로 2010년에 비해 17.8%(연평균 3.3%) 증가했다. 광업(-0.9%)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지난 5년간 정부가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건설경기 부양책을 추진했지만 정작 고용창출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 |
실제로 지난 2010년 대비 2015년 건설업의 사업체 증가율은 38.1%로 연평균 6.7%나 급증했다.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2.9%에서 3.5%로 늘었다.
하지만 건설업 종사자 수는 2015년 대비 8.0 늘어나 연평균 1.6%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6.7%에서 6.1%로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 종사자는 같은 기간 40.%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전문·과학·기술 분야도 33.1%나 급증해 시대 변화를 반영했다.
이에 대해 김대호 통계청 경제총조사과장은 "임시직 건설 근로자는 통계에 잡히지 않은 경우가 있고. 건설업 통계가 동절기인 연말 기준으로 잡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