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폭발', 울고 싶은데 뺨 때린 격"
전편협, 로열티·수수료·임대차보호 동시 요구
[서울=뉴스핌] 박효주 기자 = “장사를 할 만하면 바로 옆에 편의점이 또 들어섭니다. 최저임금이 오르는 것도 문제지만 인근에 편의점이 생긴다거나 임대료가 오르면 눈앞이 캄캄하죠. 건물주들이 돈 못내겠으면 나가라고 하는데 버틸 재간이 있나요. 임대료에 수수료까지 더해지면 손에 쥐는 건 200만원이 채 안됩니다.”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A씨의 말이다.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0.9% 인상된 8350원으로 결정되면서 인건비 부담이 더해진 편의점주들은 사실 임금 지급 부담 외에도 임대료, 수수료 등 삼중고를 겪고 있다. 사실 최저임금 충격은 "울고 싶은데 뺨 때린 격"이란 얘기다.
![]() |
편의점 업계가 최저임금 인상안에 우려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편의점 내 물건을 진열하는 모습 [사진=민경하기자 204mkh@] |
17일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전편협)에 따르면, GS25·CU 편의점 1만5000개 점포의 올해 평균 매출은 월 5400만원으로 평균 수익률을 26%로 가정하면 판매 이익은 1404만원에 불과하다.
월 매출 대비 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항목은 인건비(463만원)로 8.58%에 달한다. 이어 가맹수수료(437만원)가 8.1%, 임대료(250만원) 4.62%, 영업비(92만원) 1.7% 순이다. 올 초부터 가맹본부가 지원하는 상생 지원금 20여 만원을 더해도 가맹점주는 약 182만원을 벌게 되는 셈이다.
◆ 편의점주 "매출 줄어도 수수료 낮추기 어려운게 현실"
가맹수수료와 임대료의 경우 상권이나 지역에 따라 개별 계약으로 진행해 각 점포마다 편차가 크다. 통상 가맹수수료는 매출 총이익에 따른 비율로 정하며 로열티와 본사 지원금을 더해 산정한다.
예컨대 가맹점이 매출 총이익의 65%를 가져가면 가맹본부가 35%를 가져가는 구조이며 여기에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와 가맹점이 명목상 지원받는 금액(지원금)을 상계한 금액으로 산정하는 식이다.
따라서 가맹본부와 계약 체결 당시 매출 총이익의 65%로 정한다면 매출에 변동이 생기더라도 수수료를 높인다거나 낮출 수 없다.
익명을 요구한 한 편의점주는 “가맹수수료가 점포 별로 계약에 따라 달라 매출이 떨어지면 실질적인 부담은 두 배 이상”이라며 “더욱이 가맹수수료를 로열티와 지원금으로 상계해 산정하기 때문에 사실상 로열티를 낮추더라도 본사에서 지원금을 함께 낮춘다면 사실상 손익은 같아져 쉽게 건의할 수도 없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 |
전국편의점점주협회 관계자들이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기자실에서 팻말을 들고 최저임금 동결 및 업종별 차등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
◆ 근접출점·임대료 인상에 더욱 고충 깊어
수도권에서 점포를 운영하는 편의점주들의 고충은 더욱 크다. 평균 매출에 비해 임대료 상승세는 턱없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인구 밀집 지역일수록 근접 출점으로 인한 피해가 클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계약 갱신기간을 현행 5년에서 10년으로 늘리고 상한률을 기존 9%에서 5%로 낮췄지만 여전히 부담은 남아있다.
서울 영등포구 당산역 인근에서 6년째 편의점을 운영하는 B씨는 “가게를 운영하면서 건물주인이 임대료를 두 번 올려달라고 요구했고, 최초 계약보다 80만원이 올랐다"면서 "주변에 편의점이 아직 들어서지 않아 울며 겨자먹기로 재계약을 했지만 최근 반경 30M 내에 타사 브랜드 편의점이 문을 열면서 매출이 반토막이 나 폐업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6일 전국편의점가맹점주협회(전편협)은 최저임금 인상 대책 마련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가맹본부에 4가지 요구안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다.
![]() |
전국편의점점주협회 관계자들이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기자실에서 팻말을 들고 최저임금 동결 및 업종별 차등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
전편협측이 밝힌 성명서에 따르면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업종별 지역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 △개별 가맹 본부의 가맹수수료 인하 △근접 출점으로 인한 생존권 파괴 행위 중단 △정부의 담뱃세, 종량제 봉투 등에 대한 카드수수료 부담 등 4가지 요구안이 담겨있다.
hj030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