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원전해체 계획에 따라 10년 뒤 약 4383명 전담 인력 필요"
"안전한 원전 해체 기술 확보 위해 전담 인력 육성 필요"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국내 원전해체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이 8일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 해체업무 전담 인력은 99명으로 관련 산업 전체 인원 4만8149명 중 0.19%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의 12개 원전 해체 계획에 따라 약 10년 뒤에는 약 4383명의 전담 인력이 필요하지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인 것이다.
![]() |
국내 원전해체 관련 산업 인력은 4만8149명으로 원자력분야 인력은 28.6%인 1만1274명, 비원자력분야 인력은 71.4%인 3만6875명이다. 이 중에서 해체산업분야에서만 전담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은 99명뿐이다. 원전 해체산업 연관인력으로 그 대상과 범위를 확대해도 2082명에 그쳐, 전체 인력 대비 4.3%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12개의 원전 해체를 계획하고 있고, 이 기간 동안 원전 해체 필요 인원을 약 4383명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문제가 지속될 경우 원전 해체 계획 등에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게 위 의원 측 주장이다.
더욱이 원전해체 연관인력 면허·자격증 보유 현황도 턱없이 낮은 상황이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해체산업 연관 인력 가운데 면허·자격증 보유자는 1063명이지만, 정작 원자력 관련 면허·자격증 보유자는 46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력 4만8149명의 0.09% 수준이다.
위성곤 의원은 "우리가 가진 원전 해체 경험은 소규모 원자력 시설과 장비교체가 전부인 만큼, 이 분야의 인력 양성도 제한적이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안전한 원전 해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담 인원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