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 40대 이하·수도권·중도층에서 압도적 1위 선정
2위 홍준표 "귤 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 언중유골 화제
노회찬 "누굴 원망", 김정은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 順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2018년 한 해 국민을 웃기고 울린 '올해의 말'에 1위에 컬링대표팀 팀킴의 "영미~~"가 뽑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CBS의 의뢰로 '국민들을 웃기고 울린 2018년 올해의 말·말·말'을 조사한 결과, "영미~~"가 18.5%로 1위로 조사됐다.
2위엔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의 "귤 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가 12.4%로 2위를 차지했고, 고(故) 노회찬 정의당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가 11.9%로 3위를 기록했다.
4위에는 청와대의 "미꾸라지 한 마리가~" 발언이 11.6%를 얻었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가 10.9%를 얻어 5위를 기록했다.
이어 비정규직 노동자의 "내가 김용균이다!!!"와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괘념치 말아라"(각 6.2%), BTS (방탄소년단)의 "Love yourself!!!"(5.8%), 정태옥 자유한국당 전 대변인의 "이부망천"(5.4%),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의 "고개 들어, 울어?"(2.5%) 순으로 조사됐다. '기타'는 4.2%, '모름/무응답'은 4.4%.
▶관련기사 바로가기 홍준표 "북 귤상자에 귤만 들었을까"
▶관련기사 바로가기 윤영찬 "미꾸라지 한 마리가 개울물을 온통 흐리고 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노회찬 "누굴 원망하랴, 당의 앞길에 큰 누를 끼쳤다"
![]() |
세부적으로 보면, 지지층별로 1위는 다소 차이가 났다.
먼저 전체적으로 1위에 오른 "영미~~"는 수도권과 호남, 40대 이하, 중도층, 바른미래당 지지층·무당층에서 올해의 말로 꼽혔다.
고(故) 노회찬 정의당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는 대구·경북(TK)와 50대, 진보층, 정의당 지지층에서 1위를 차지했다.
보수층과 한국당 지지층에서는 홍준표 전 대표의 "귤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가 가장 많았고, 충청권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의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가, 60대 이상에서는 청와대의 "미꾸라지 한 마리가..."가 각각 1위로 선택됐다.
연령별로는 20대(29.4%)와 30대(22.0%), 40대(18.3%)에서는 팀킴의 "영미~~"가 올해의 말 1위로 나타났다. 50대(21.3%)에서는 故 노회찬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가, 60대 이상(19.5%)에서는 청와대의 "미꾸라지 한 마리가..."가 가장 높았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18.0%)은 팀킴의 "영미~~"를, 진보층(21.9%)은 故 노회찬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를, 보수층(17.2%)은 홍준표 전 대표의 "귤 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를 각각 1위로 선택했다.
지지정당별로는 바른미래당 지지층(22.1%)과 무당층(28.4%)에서는 컬링대표팀 팀킴의 "영미~~"가 가장 높았고, 정의당 지지층(24.2%)에서는 故 노회찬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19.1%)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의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가, 자유한국당 지지층(18.9%)에서는 홍준표 전 대표의 "귤상자 속에 귤만 있겠나?"가 각각 가장 많이 꼽혔다.
![]() |
23일 오후 강원도 강릉 컬링센터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컬링 한국과 일본의 준결승전에 출전한 한국 김선영과 김영미가 김은정의 투구를 받아 스위핑 하고 있다. /2018평창사진공동취재단 |
지역별로는 경기·인천(23.2%)과 광주·전라(21.1%), 서울(20.8%)에서는 컬링대표팀 팀킴의 "영미~~"가 1위로 나타났다. 대구·경북(20.6%)에서는 故 노회찬 의원의 "누굴 원망하랴"를, 대전·세종·충청(17.2%)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의 "멀다고 하면 안되갔구나"를 1위로 꼽았다.
부산·울산·경남(청와대 15.4%, 팀킴15.2%)에서는 청와대의 "미꾸라지 한 마리가..."와 팀킴의 "영미~~"가 엇비슷하게 공동 1위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18년 12월 28일에 전국 19세 이상 성인 8265명에게 접촉해 최종 503명이 응답을 완료, 6.1%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표집틀 확정 후 미수신 조사대상에 3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10%) 전화 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8년 7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 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보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