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미국·북미

속보

더보기

'美관세 인상에 中보복'…고래싸움에 소비자·기업들은 죽을 맛

기사입력 : 2019년05월14일 08:46

최종수정 : 2019년05월14일 09:00

트럼프 경고에도 中 보복 조치
美대두값 폭락…금융시장·산업계도 패닉
내달 트럼프·시진핑 회담 돌파구 될까 관심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이 관세 인상을 단행하자 중국이 보복에 나서면서 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다. 세계 두 강국이 한치의 양보도 없는 전면전에 나서면서 소비자들과 기업, 세계 경제가 울상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좌)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13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6월 1일부터 600억달러(약 71조25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수입품 5140개 품목에 대해 현행 관세율 10%에서 20~25%로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관세율 인상 품목에는 미국산 땅콩 기름, 대두, 소고기, 돈육, 해산물, 채소 등 다양한 농축산 품목과 함께 맥주, 와인, 위스키, 수영복, 셔츠, 액화천연가스(LNG) 등이 포함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지난 10일 2000억달러어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한 데 따른 보복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보복 조치를 발표하기 전 트위터에 "중국은 보복하지 말아야 한다"며 "(보복하면)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는 3000억달러 규모의 신규 중국산 제품에 관세 25%를 부과할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은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를 부과할 지 아직 결정하지 않은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6월 28일과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회의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예정이다. 이는 중국이 예고한 대(對)미 관세율 인상이 발효된 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가 백악관을 방문한 가운데 기자들에게 "G20에서 미국과 중국의 만남이 성과를 낼 수 있다"면서 낙관론을 언급했지만서도 "미국은 현재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양국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도 대중 관세로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10일 워싱턴D.C.에서의 양국 고위급 무역 회담이 성과없이 끝나고, 양국이 관세 인상으로 서로 치고 박으면서 간밤의 뉴욕증시는 가파르게 떨어졌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617.38포인트(2.38%) 급락한 2만5324.99에 거래됐고, S&P500 지수는 69.53포인트(2.41%) 내린 2811.87을 나타냈다. 나스닥 지수는 269.92포인트(3.41%) 폭락하며 7647.02에 마감했다.

이에 따라 주요 지수는 연초 이후 최대 하락을 나타냈다.

미국 농가도 불안하다. 이날 시카고거래소 대두 선물가격은 미중 갈등의 고조로 10년래 최저치로 떨어졌다. 대두는 미국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관세 보복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농가에 150억 달러의 재정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아직 세부 사항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산업계도 그닥 낙관적이지 않다. 소매업리더협회 국제무역 부문의 훈 콱 부회장은 뉴욕타임스(NYT)에 "미국인들의 쇼핑 카드 전체가 더 비싸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매업리더협회는 미국의 베스트 바이, 월마트, 타깃 등 소매업체들을 대표하는 협회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만일 트럼프 행정부가 30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하면 이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거의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에 해당한다며, 미국 소비자들은 곧 무역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Global Times)의 후시진 편집장은 13일 트위터에 중국이 미국산 농산품과 에너지 제품, 보잉 항공기 수입을 전면 중단할 수 있다며 중국 내 미국 서비스 제공도 막힐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 중국 학자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미 국채 매도에 나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외국무역협의회의 루퍼스 에르사 회장은 "우리는 중국이 어떻게 보복할지, 그들이 중국 내 미국 기업들을 겨냥할 지 걱정하고 있다"며 "나는 확실히 낙관의 뜻을 나타낼 수 없다"고 말했다.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