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산업

속보

더보기

마윈이 동북으로 간 까닭은? 중국 IT공룡들 동북3성 앞으로

기사입력 : 2019년07월18일 15:57

최종수정 : 2019년07월18일 18:11

마윈 마화텅 IT기업인 너도나도 동북에 투자
'산하이관 넘어 투자하지 말라' 재계 통념 부숴

[서울=뉴스핌] 김은주 기자 = 중국에서 낙후된 지역으로 투자 기피 대상이 되어온 동북3성에 중국 공룡 기업들이 투자의 손길을 뻗고 있다. 침체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들 기업들이 발벗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중국 매체 신경보가 알리바바, 텐센트, 완다 등 거대 기업들이 최근 잇따라 동북3성 지역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동북 3성은 헤이룽장(黑龍江)성, 랴오닝(遼寧)성, 지린(吉林)성을 가리킨다.

지난 16일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알리바바는 헤이룽장성의 하얼빈에서 전략적 협력을 체결했다. 향후 양측은 스마트농업, 내수확대, 디지털 정부 등 측면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지난 16일 알리바바 마윈 회장(왼쪽에서 여섯 번째)이 지켜보는 가운데, 알리바바와 동북3성 중 하나인 헤이룽장성이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사진=바이두]

이번 체결식에 참석한 알리바바 마윈 회장은 “투자를 할 때는 산하이관(山海關)을 넘어야 한다”고 언급해 많은 화제를 모았다. 산하이관 너머의 동북3성 지역에는 투자하면 안 된다는 기존의 통념을 깨부순 말이다. 산하이관은 허베이성 북동쪽에 위치한 만리장성 동쪽 끝 관문을 말한다.

체결식 이후 하얼빈우정궁에서 헤이룽장성의 농산물 전시를 둘러본 마 회장은 “지난해 알리바바 산하의 쇼핑몰 타오바오에서 헤이룽장성의 농산물 매출액이 18억 위안(약 3080억원)에 달했다”면서 “향후 양측이 협력을 강화하면 기존 매출액에 숫자 0이 하나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매체 중화왕은 마 회장의 이번 움직임에 대해 '촹관둥(闖關東)' 여정에 나섰다고 표현했다. 촹관둥은 ‘관둥(산하이관의 동쪽인 동북3성) 지역으로 들이닥치다’라는 뜻으로, 동북3성에 민간 투자가 몰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1900년대 초 대기근 때 산둥과 허베이 사람들의 동북 이주역사를 다룬 '촹관둥'이라는 TV 드라마도 한때 유행한 적이 있다. 

앞서 6월 12일 IT 기업 텐센트 마화텅 회장은 랴오닝성 정부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선양이 스마트 도시로 거듭나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텐센트는 자사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스마트 정부, 스마트 의료 등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5월 15일 부동산 대기업 완다그룹은 기존에 랴오닝성 선양시에 250억 위안(약 4조원)을 투자한 데 이어 이번에 800억 위안(약 13조원)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했다. 완다그룹은 선양시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대형 문화관광사업, 국제병원, 국제학교, 완다 쇼핑몰을 건설할 계획이다. 

완다그룹의 왕젠린 회장은 선양시 투자와 관련해 “선양시의 미래 발전성을 보고 투자했다”면서 “선양시의 양호한 경제 지표와 투자 환경 개선,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 노력 등이 투자에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1월엔 중국 전자상거래 2위 징둥의 류창둥 회장은 동북3성을 방문해 “동북이 없었으면 국가 초기의 공업 발전도 없었을 것이다. 이들 지역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돕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향후 3년 내 동북3성에 200억 위안(3조원)을 투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동북3성은 중국에서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속한다. 특히 지난 2014년부터 동북3성의 GDP(국내총생산)는 전국 평균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5년~2017년까지 동북 지역의 누적 민간투자 증가률은 다른 동부, 중부, 서부와 비교해 볼 때 가장 뒤처지는 곳이었다. 이 중 2015년과 2016년 2년 연속 민간투자 증가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유일한 지역이었다. 2015년, 2016년 민간투자 증가률은 각각 -9.5, -24.4%를 기록했다.

[자료=중국 윈드, 쑤닝금융연구원]

eunjooki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카카오,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오픈AI와 국내 기업 최초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카카오톡과 AI 에이전트 '카나나' 등 주요 서비스에 챗GPT 기술을 접목하는 등 한국형 AI 서비스 대중화에 나선다. 4일 카카오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기술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이용자 중심의 AI 서비스 대중화 청사진을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키노트를 통해 AI가 가져올 일상의 혁신적 변화를 제시했다. 그는 "카카오는 모든 관계가 무제한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나만의 맞춤형 초개인화 일상이 존재하는 세상을 그리고 있다"며 "지인과 비지인의 경계를 넘어 AI 에이전트로 관계가 확장되고, 쇼핑이나 메시지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넘어 나에게 적합한 초개인화된 기술이 복합적으로 수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2.04 mironj19@newspim.com 이어 "모바일 시대 카카오는 메시지, 커머스,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금융 등 일상에서 국내 최고 플랫폼 회사로 시대의 기술을 쉽게 쓸 수 있도록 제시했다"면서 "AI 시대에도 이 가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카카오의 핵심 가치를 강조했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집중해 의미 있는 가치를 창출하고, 사용자가 가장 쉽게 AI를 활용하고 일상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 카카오가 제공할 핵심적 가치"라며 "이를 위해 카카오는 AI 기술이 일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기술과 서비스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핵심으로 내세웠다. 정 대표는 "카카오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은 단순 서비스 제공에 그치지 않고 카카오 전체 생태계를 활용해 사용자 맥락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서비스별 특성에 맞는 최적의 AI 모델을 선별적으로 활용하고, 때로는 여러 모델을 복합적으로 조합해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또 "사용자들이 각각의 AI 모델 특성을 일일이 파악하고 선택할 필요 없이,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최적의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면서 "이는 카카오가 가진 플랫폼 역량과 AI 기술의 결합이 만들어낸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AI 에이전트 '카나나(Kanana)'를 통해 이러한 전략을 가장 먼저 구현할 계획이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는 등 이용자의 관계 형성과 강화를 돕는 서비스로, 카카오는 자체 언어모델과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결합해 한국 이용자들에게 최적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기술적으로는 한국에서 한국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는 카나나 모델을 자체 개발 중이고 파인튜닝을 통해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개발자들이 모델을 활용하기 쉽도록 카카오 AI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에 AI 기술이 쉽게 적용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또한 "모든 사용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자체 세이프가드를 개발해 악의적 인용이나 편향성 이슈가 없도록 AI 윤리 원칙을 작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이날 카카오와의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샘 올트먼 CEO는 "카카오는 기술이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다"면서 "카카오의 수많은 이용자들에게 첨단 AI를 제공하고, 이 기술을 카카오의 서비스에 통합해 이용자들의 소통과 연결 방식을 혁신하는 데 협력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샘 올트먼 CEO는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며 협력의 구체적인 방향성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은 에너지, 반도체, 인터넷 기업 등 강력한 AI 도입 기반을 갖춘 시장으로, AI 채택률이 놀라운 수준으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이 될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카카오와 AI, 메시징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있어 함께 탐구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많다"면서 "생산성과 엔터테인먼트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2.04 mironj19@newspim.com AI 기술 발전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모델로 진전을 이루고 있으며, 작년과 비교해 운영 비용이 10배 가량 감소했다"면서 "6개월 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이제는 가능해졌으며, GPT를 통해 수개월 걸리던 작업이 훨씬 더 빨라졌다. AI 역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비용은 지속적으로 절감되고 있어, 머지않아 GPT4가 모바일에서도 구현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AI 안전성에 대해서는 "AI 안전성은 나중에 생각할 문제가 아니라 개발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로, 특히 AI 에이전트 개발에서는 안전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컴퓨터를 실제 제어할 수 있는 에이전트에서 안전은 추상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다"라며 "안전과 공동 프로덕트 개발은 같은 선상에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5000만 카카오톡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AI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향후 한국 시장에 특화된 공동 상품도 개발할 예정이다.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DB] 정신아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카카오는 국내에서 가장 앞선 AI 기술 환경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한국 시장을 깊이 이해하는 카카오와 글로벌 서비스 경험이 풍부한 오픈AI의 시너지를 통해 혁신적인 AI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랜 기간 축적한 플랫폼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구현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2025-02-04 13:24
사진
'최대 9.54%' 청년도약계좌 유리한 은행은?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청년세대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책인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이 열렸다. 은행별로 급여통장, 카드 실적 등 조건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 희망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조건을 따질 필요가 있다. 3일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기간은 이날부터 14일까지다. 서민금융진흥원 CI. [사진=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취급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신청해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이번 가입대상으로 안내받은 1인가구는 2월20일~3월14일에, 2인 이상 가구는 3월4일~14일에 계좌를 개설(영업일만 가능)할 수 있다. 취급은행은 NH농협·신한·우리·하나·IBK기업·KB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iM뱅크(구 대구은행) 등이다. 은행별로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이 차이가 있어 자신에게 유리한 은행이 어딘지 살펴보고 가입하는 것이 좋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예금상품금리비교 탭에서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일정 금액을 내면 만기에 본인 저축액, 은행 이자와 더불어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청년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됐다. 납입 금액은 월 1000원부터 70만원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월 70만원씩 5년간 적립하면 만기에 약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 지난 1월에는 누적 162만 명이 계좌를 개설했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데다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면 최고 연 6% 금리를 제공한다. 이보다 소득이 높으면 최고 연 5.5%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붙여주는 구조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모두에게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가 적용된다.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고려하면 실질금리 수준은 더 높다. 이에 더해 올해부터 만기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더 늘어난다. 금융위원회는 월 최대 기여금을 기존 24000원에서 33000원으로 늘렸다.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가입자가 월 70만원씩 5년간 가입하면 4200만원을 납입해 만기 때 최대 5061만원까지 불릴 수 있다. 연 9.54% 일반 적금에 가입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총 급여 3600만원 이하는 만기 때 최대 4981만원, 총 급여 4800만원 이하는 최대 4956만원을 받는다. jane94@newspim.com 2025-02-03 08:5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