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영상] 갤럭시S20, 주사율 두배로 '부드러운 화면전환'

기사입력 : 2020년02월12일 16:48

최종수정 : 2020년02월12일 16:51

"우아한 화면전환" 외신 찬사 한 목소리…슈팅게임에 최적
120Hz로 설정시 60Hz일 때보다 배터리 사용시간 1시간 줄어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120Hz 주사율이 갤럭시S20에서 새로 선보인 기능 중 단연 최고다."(폰아레나)

"더 부드러운 스크롤 경험을 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서핑을 할 때 우아하게 화면전환이 된다."(디지털 트렌드)

"이 이상의 스펙은 없다는 것을 삼성이 소비자들에게 확신시켜 주고 싶은 것 같다."(더 버지)

11일(현지시간) 삼성전자 갤럭시S20 시리즈를 직접 체험한 해외 정보기기(IT) 전문매체들은 삼성전자가 이번 갤럭시S20 시리즈에서 처음 적용한 120헤르츠(Hz) 주사율 디스플레이에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주사율이 120Hz라는 것은 1초당 보여 주는 정지 이미지의 수가 120장이라는 의미다. 즉, 1초에 120번 화면의 이미지가 업데이트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주사율은 보통 60Hz 수준으로 갤럭시S20 시리즈의 2분의 1이다. 지난해 구글의 '픽셀4'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원플러스의 '원플러스7 프로'가 90Hz의 주사율을 적용해 화제를 모았을 정도다. 현재 120Hz 주사율은 애플의 태블릿PC인 '아이패드 프로'에 적용돼 있다.

12일 삼성전자가 서울 중구 태평로 빌딩에서 진행한 갤럭시 신제품 브리핑에서 외신이 입을 모아 칭찬한 갤럭시S20 시리즈의 120Hz 주사율 탑재 디스플레이를 체험해 봤다. 갤럭시S20부터 갤럭시S20 플러스(+), 갤럭시S20 울트라까지 이번에 출시되는 갤럭시S20 시리즈 모든 모델은 120Hz 주사율이 적용된다.

주사율을 60Hz로 설정한 갤럭시S20과 120Hz로 설정한 갤럭시S20 플러스를 같은 화면을 켜 비교해 봤다.

바로 옆에 두 제품을 놓고 비교해보니 인스타그램을 켠 상태에서 빠른 손놀림으로 피드를 휙휙 넘길 때, 확실히 120Hz로 설정된 갤럭시S20 플러스의 화면이 더 부드럽게 느껴졌다. 외신이 '화면전환이 우아하다(more fluid transitions)'고 한 말의 의미를 알 것 같았다.

반면 60Hz로 설정된 갤럭시S20은 비교적 화면이 뚝뚝 끊어져 시연을 위해 빠르게 스크롤을 넘기자 어지럽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전까지는 지금 쓰고 있는 스마트폰의 주사율에 특별한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지만 확실히 120Hz 주사율의 스마트폰을 쓰다 60Hz로 돌아간다면 불편함이 크게 느껴질 것 같았다.

120Hz 주사율 디스플레이는 고사양 게임을 할 때 그 차이가 더 확연히 드러난다. 특히 빠르게 총을 쏴서 적을 제거하는 슈팅게임 애용가라면 이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할 듯하다.

다만 주사율이 2배 더 높아진 만큼 그만큼의 배터리 전력소모를 감수해야 한다. 같은 환경에서 주사율만 120Hz로 설정했을 경우, 60Hz일 때보다 100%의 배터리가 0%로 가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 더 짧을 뿐이라는 게 삼성전자측 설명이다. 하지만 남은 배터리 사용량에 민감한 현대인으로서는 직접 사용해 봐야 1시간 차이일 뿐이라는 설명을 믿을 수 있을 것 같다.

이용자는 설정 화면에서 주사율을 60Hz와 120Hz 중 선택할 수 있다. 배터리 절전 모드에서는 주사율이 자동으로 60Hz로 전환된다. 소모 전력을 아끼기 위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앱) 등 정적인 화면이 대부분인 일부 앱에서는 특별히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60Hz 주사율이 적용된다.

한편 다음달 6일 전 세계에 공식 출시되는 갤럭시S20 시리즈는 ▲갤럭시S20 ▲갤럭시S20 플러스(+) ▲갤럭시S20 울트라로 구성돼 있다. 각각 124만8500원, 135만3000원, 159만5000원이다. 오는 20일부터 26일까지 사전판매가 진행된다.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왼쪽부터 갤럭시S20(클라우드 핑크), 갤럭시S20 플러스(+) (클라우드 블루), 갤럭시S20 울트라(코스믹 그레이). 2020.02.12 nanana@newspim.com

nana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