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닻 올린 '스가號'..."아베 계승 내세우며 변화보다 안정에 방점"

기사입력 : 2020년09월16일 15:24

최종수정 : 2020년09월16일 15:26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자민당 신임 총재가 일본의 새로운 총리로 선출됐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후임으로 일본에서는 7년 8개월 만에 이루어진 총리 교체다.

일본 중의원은 16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총리 지명 선거를 통해 스가 총재를 제99대 일본 총리로 선출했다. 스가 총리는 총 투표수 462표 가운데 314표를 얻으며 67.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대표가 134표를 얻었으며, 일본유신회의 가타야마 도라노스케(片山虎之助) 공동대표가 11표를 가져갔다.

참의원 지명 선거가 남았지만, 자민당과 공명당의 연립 여당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하다.

스가 신임 총리는 이후 황실에서 나루히토(德人) 일왕으로부터 임명장을 받는 친임식(親任式)과 각료 인증식을 거쳐 오늘 중으로 새 내각을 발족할 예정이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신임 총리가 16일 국회 지명 선거에서 선출된 후 박수를 받고 있다. 2020.09.16 goldendog@newspim.com

◆ 새 내각 각료 절반이 아베 내각 인물

스가 신임 총리가 '아베 정책'의 계승을 내세우고 있는 만큼 스가 내각도 아베 내각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신설된 디지털상을 포함해 20명의 각료 중 절반인 11명이 아베 내각에서 이어져온 인물들이다.

코로나19 위기 상황 아래 탄생한 '릴리프(구원) 정권'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아베 정권이 추진했던 경제·외교·안보 정책을 이어가기 위해 변화보다는 안정에 방점을 찍은 모양새다.

아베 내각에서 경제 및 외교를 담당했던 각료들이 그대로 자리를 유지했다. 2차 아베 정권 탄생 이래 쭉 재무상을 맡았던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이 재임됐다.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도 자리를 지켰다.

가지야마 히로시(梶山弘志) 경제산업상과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재정·코로나담당상, 아카바 가즈요시(赤羽一嘉) 국토교통상도 유임이 결정됐다.

여기에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문부과학상,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郞) 환경상,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올림픽담당상을 더해 아베 내각에 몸담았던 각료 8명이 그 자리 그대로 재임명을 받았다.

아베 내각에서 후생노동상을 맡았던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장관, 방위상이었던 고노 다로(河野太郞) 행정개혁·규제개혁담당상, 국가공안위원장에 있던 다케다 료타(武田良太) 총무상 등 3명도 자리만 바뀐 채 스가 내각에 머물렀다.

첫 입각은 노가미 고타로(野上浩太郞) 농림수산상, 기시 노부오(岸信夫) 방위상, 사카모토 데쓰시(坂本哲志) 1억 총활약상, 히라사와 가쓰에이(平澤勝榮) 부흥상, 이노우에 신지(井上信治) 엑스포담당상 등 5명이다.

눈여겨 볼만한 것이 방위상에 발탁된 기시 노부오다. 그는 아베 총리의 친동생이다. 외가에 양자로 입적해 성이 기시로 바뀌었다. 스가 내각이 아베 정책의 계승과 안정에 방점을 찍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인사라 평가할만하다.

제1차 스가 내각 내정자 명단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2020.09.16 goldendog@newspim.com

◆ 아베 "국민께 감사한다"며 퇴임 인사 전해

한편, 아베 내각은 이날 오전 열린 임시 각료회의를 통해 총사퇴했다. 이로써 역대 최장인 7년 8개월간 이어졌던 2차 아베 정권이 막을 내렸다. 2차 아베 정권은 아베 총리가 2012년 12월 재집권에서 성공하면서 발족했으며 헌정 사상 최장 정권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아베 총리는 "정권 탈환 이후 경제 재생과 국익을 지키기 위한 외교에 하루하루 전력을 다해 왔다"며 "모든 것은 국민 여러분의 덕분이며, 어려울 때나 힘들 때나 지지를 보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고 퇴임 인사를 전했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16일 퇴임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공관을 나서기 전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2020.09.16 goldendog@newspim.com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사진
[단독] 삼성전자 '엑시노스 부활' 이 기사는 5월 21일 오전 10시04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하반기와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 플래그십 모델에 자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를 탑재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오는 7월 공개 예정인 폴더블 신제품에는 '엑시노스 2500·2400',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6 시리즈에는 2나노 공정의 '엑시노스 2600'이 적용될 예정이다. 시장과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 퀄컴 칩셋과 병행 탑재하는 이원화 전략이 병행된다. 삼성전자 엑시노스 [사진=삼성전자] 21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삼성전자는 오는 7월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공개할 폴더블 스마트폰에 엑시노스 칩셋을 일부 탑재한다. 삼성은 또 내년에 출시하는 갤럭시 S26 시리즈에는 엑시노스 2600을 부분 탑재할 계획이다. 해당 칩셋은 2나노 공정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제품이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 Z 플립7에 엑시노스 2500, 보급형인 Z 플립7 FE에 2400이 각각 탑재될 예정"이라며 "상위 기종인 Z 폴드7에는 S25와 동일하게 퀄컴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가 들어간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6 시리즈의 경우 북미·한국·중국·일본 등 주요 시장에는 퀄컴의 새로운 칩(스냅드래곤8 엘리트2)을, 유럽 및 기타 글로벌 시장에는 자체 칩셋인 엑시노스 2600을 교차 탑재하는 것이 현재 계획"이라며 "단, 고성능이 요구되는 울트라 모델은 전량 퀄컴 칩셋을 탑재하는 방향으로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분기보고서를 통해 "상반기에는 3나노, 하반기에는 2나노 모바일향 제품을 양산해 신규 출하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갤럭시 S25 울트라. [사진=삼성전자] Z 폴드7과 S26 시리즈의 칩셋 탑재 방식 차이는 제품 포지셔닝에 따른 것이다. 폴드 시리즈는 플립 보다 상위 라인업으로 분류돼 퀄컴 칩셋을 적용하고, 유럽 등에서는 엑시노스를 투입해 성능을 검증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울트라 모델의 경우 상위 기종인 만큼 지역에 관계없이 퀄컴 칩셋을 탑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이 엑시노스를 자사 제품에 탑재하는 것은 시스템LSI와 파운드리 사업부 실적 정상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올해 1분기 두 사업부는 각각 1조원대 적자를 낸 바 있다. 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에 플래그십 SoC(System on Chip)를 공급하지 못했고, 파운드리는 계절적 수요 약세와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인한 가동률 정체로 실적이 부진했다. 하지만 자체 칩셋 적용은 내부 수요를 통한 생산 가동률 확보, 공정 검증 및 설계-제조 일원화 구조를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민감도가 낮은 시장을 중심으로 엑시노스 경쟁력을 확보하며 중장기적으로 점유율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것으로 관측된다"며 "엑시노스의 성공은 사업부 실적은 물론 향후 시장 주도권 확보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삼성 입장에선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측은 엑시노스 탑재와 관련해 "고객사와 관련된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고 답변했다. aykim@newspim.com 2025-05-21 14: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